[日 방사능 공포] 원자로 수소폭발 우려도

[日 방사능 공포] 원자로 수소폭발 우려도

입력 2011-04-07 00:00
업데이트 2011-04-07 00: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호기 고농도 오염수 유출은 차단 원전 인근 물고기서 세슘 첫 검출

일본이 필사적 노력 끝에 근해로 빠르게 흘러들던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2호기 인근 방사능 오염수를 멈춰 세웠다. 그러나 오염수의 유출경로가 한곳이 아닐 가능성이 제기되고 원자로가 수소폭발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는 등 여전히 위협은 곳곳에 도사리고 있다.

도쿄전력은 6일 오전 후쿠시마 제1원전 2호기 부근에서 발생했던 고농도 오염수의 바다 유출이 차단됐다고 발표했다. 지난 2일 2호기 취수구 근처 전력 케이블용 터널 입구에 균열이 생겼고 이곳을 통해 오염수가 바다로 흘러드는 것을 발견한 뒤 4일간 사투를 벌인 끝에 급한 불을 끈 것이다.

도쿄전력은 토양을 굳게 만드는 화학약품인 규산나트륨을 투입, 균열이 발생한 배관 주변의 땅을 단단하게 만들었고 이 덕분에 오염수의 추가유출을 차단할 수 있었다고 AFP통신이 전했다. 유출을 막기 위해 그동안 콘크리트로 균열을 메우고 톱밥, 신문지까지 동원해 물길을 막으려 했으나 번번이 실패했었다.

그러나 일본 원자력안전보안원이 이날 “2호기 주변의 전력케이블 시설에서만 (오염수가) 유출되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다른 곳을 감시할 필요가 있다.”고 밝히는 등 오염수 공포는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후쿠시마 남쪽 이바라키현 앞바다의 물고기에서는 기준치를 초과하는 방사성물질 세슘이 검출되기도 했다. 물고기에서 세슘이 검출된 것은 처음이다.

또 후쿠시마 제1원전의 원자로 격납용기 안에 연료 손상과 방사선에 의한 냉각수 분해로 수소가 고여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수소폭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일본 정부는 최악의 상황을 막기 위해 이날 원전 1호기에 질소 가스를 주입했고 냉각기능이 손상된 2~3호기에도 같은 조치를 검토하고 있다.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은 또 기존 냉각 시스템 복구에 애를 먹고 있는 1~3호기의 원자로 건물밖에 새로운 냉각장치를 설치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산케이신문이 보도했다.

유대근기자 dynamic@seoul.co.kr
2011-04-07 4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