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다피, 우방국에 정전 메시지… 출구전략 몸부림

카다피, 우방국에 정전 메시지… 출구전략 몸부림

입력 2011-04-05 00:00
업데이트 2011-04-05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리비아 정부가 나라 안팎으로 출구 전략을 제시하며 궁지에서 벗어나려 몸부림치고 있다. 반군 공격을 저지하며 한숨을 돌린 무아마르 카다피 리비아 국가원수는 정전 협상을 위해 유럽, 중동 우방국에 특사를 보내며 본격적인 외교전에 나섰다. 정권 2인자인 카다피의 차남 사이프 알이슬람은 부친을 퇴진시키고 자신이 이끄는 과도정부를 해결안으로 내세웠다. 하지만 유럽연합(EU)이 카다피 일가의 정권 자체를 허용할 수 없다고 밝혀 관철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3일(현지시간) 압델라티 오베이디 외무장관 직무대행(외무차관)이 그리스를 방문, “전쟁을 끝내고 싶다.”는 카다피의 메시지를 게오르기오스 파판드레우 그리스 총리에게 전달했다고 로이터가 그리스 정부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이날 보도했다. 카다피의 퇴진 시기도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회동 직후 디미트리스 드로우트사스 그리스 외무장관은 “카다피 정부가 (외교적) 해결책을 찾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오베이디 장관은 4일 터키를 방문, 아흐메트 다부토글루 터키 외무장관과 정전에 관한 논의를 했다. 익명을 요구한 고위급 터키 외무부 관리는 AFP와의 인터뷰에서 “리비아 정부와 반정부군 양측은 우리에게 정전에 관한 생각들을 전달했다.”면서 “양측과 모두 논의해 공통사항이 있는지 알아볼 것”이라고 말했다. 오베이디 장관은 5일 몰타도 방문할 예정이다.

그리스를 중심으로 한 관련국 간의 정전 협상은 물밑에서 한창 진행 중이다. 한 외교관은 “다양한 시나리오가 논의되고 있다. 모두 빠른 해결을 원하고 있다.”고 말해 정치적 해결이 급속히 진행될 가능성을 내비쳤다.

이탈리아 프랑코 프라티니 외무장관은 리비아의 정전 제안을 “신뢰가 가지 않는다.”고 일축하며 반군단체인 과도국가위원회만 합법적인 대화상대로 인정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영국은 리비아 정부의 제안들이 “카다피를 위한 출구전략이 아닌 진정한 정전”이라면서 폭력사태의 종식과 진정한 정전을 위해 다음 단계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영국정부는 또 리비아 반군에게 ‘비살상무기’ 제공을 고려하고 있 다고 이날 밝혔다.

외교적 해결에 대한 우려도 높다. 한 외교관은 “카다피가 자신의 아들 중 한명에게 권력을 넘겨주는 방안처럼 어떤 외교적 합의로도 리비아를 분열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와 관련, 카다피의 차남 알이슬람은 사태를 종식시킬 해결안으로 자신이 카다피로부터 권력을 이양받은 뒤 과도정부를 세워 새 헌법을 갖춘 민주주의 국가로 전환하겠다는 방안을 제시했다. 뉴욕타임스(NYT)는 알이슬람과 3남 사디가 아버지 없이 나라를 개혁하고 싶어 한다고 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카다피의 입장은 아직 분명치 않지만 최측근인 무사 쿠사 외무장관마저 등을 돌린 상황에서 카다피가 아들의 뜻에 따를 것이라는 관측도 나왔다.

하지만 4일 캐서린 애슈턴 EU 외교·안보정책 고위대표의 대변인인 마이클 만이 “카다피 정권은 물러나야 한다는 게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입장이자 EU 정상회의의 입장”이라면서 “카다피의 아들은 카다피 정권의 일부로 이해하고 있다.”고 말해 알이슬람이 이끄는 과도정부안에 대해 거부 의사를 밝혔다. 반정부단체인 과도국가위원회는 즉각 “어떤 외교 협상을 하기 전에 카다피 일가 모두가 물러나야 한다.”면서 분명히 선을 그었다.

정서린기자 rin@seoul.co.kr
2011-04-05 16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