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코리안스쿨’ 전성시대/황성기 논설위원

[씨줄날줄] ‘코리안스쿨’ 전성시대/황성기 논설위원

황성기 기자
황성기 기자
입력 2020-09-02 17:42
업데이트 2020-09-03 01: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일본 외무성의 ‘코리안스쿨’이 전성시대를 맞았다. 코리안스쿨은 외교관 시험에 합격해 주 언어가 한국어로 지정되면 도쿄본부 1~2년 근무를 거쳐 한국에서 어학연수를 마친 캐리어·전문직 외교관을 일컫는다.

한국에 일본 외교관이 올 수 있는 부장(공사급) 이상이나 총영사 등 간부 직위는 10개다. 대사관에는 대사와 총괄공사 아래 정치·경제·총무 공사, 영사부장, 공보문화원장 등 7자리가 있다. 부산·제주 총영사관에 총영사 2명과 한일중 3국 사무국(TCS)의 사무총장이나 2명의 차장 중 하나를 일본 외교관이 채운다. 이 가운데 7자리를 코리안스쿨이 차지하고 있다.

소마 히로히사 총괄공사(1987년 외무성 입성)가 대사관에선 코리안스쿨 중 가장 선배다. 그 아래 미바에 다이스케 정치공사(1991년 입성), 이케다 요이치 영사부장과 지난주 부임한 주조 가즈오 문화원장, 마루야마 고헤이 부산총영사, 이세키 요시야스 제주총영사도 코리안스쿨이다. 미치가미 히사시 TCS 사무총장은 1983년 외무성에 들어가 한국에서 문화원장과 총괄공사를 거쳐 부산총영사를 지낸 외무성 통틀어 현역 최고의 한국 전문가다.

전례 없이 많은 이들 코리안스쿨이 한국에 포진하고 있지만 이들 앞에 놓인 한일 관계는 1965년 국교 정상화 이후 최악이다. 퇴진을 발표한 아베 신조 총리가 총리 관저 주도로 틀어쥐고 ‘톱다운 외교’를 펴는 바람에 외무성이나 주한 일본대사관의 입지가 그 어느 정권 때보다 좁아졌다고 한다.

외교부나 주일 한국대사관에도 일본어에 능숙한 외교관이 꽤 있으나 2015년 ‘12·28 위안부 합의’의 책임을 물어 재팬스쿨이 사실상 뿌리까지 뽑힌 상황이라 스스로를 재팬스쿨이라고 내놓고 얘기하는 일은 드물다. 청와대의 입김이 워낙 세 존재감 또한 미미하다.

대사관의 코리안스쿨 간부와 10여명의 전문직 외교관들을 보고 있으면 한국에 대한 전문성과 열정에 감탄한다. 양국 국민이 불편한 감정 속에서 지내는 비정상의 관계를 푸는 것은 정치 지도자들의 결단이다. 하지만 지도자의 결단을 만들어 내는 것은 현장에서 분투하는 코리안스쿨, 재팬스쿨의 피와 땀이 서린 활약에 달려 있다.

코리안스쿨 대선배로 주한대사를 지낸 무토 마사토시 전 대사는 한일 신시대를 열려는 노력을 보상받지 못한 탓인지 지금은 혐한의 선봉장으로 맹활약 중이다. 아베 총리의 뒤를 이을 새 총리가 어떤 대한국 외교를 펼지는 미지수다. 하지만 한국에 침을 뱉는 ‘제2, 제3의 무토’가 나오는 것은 한일에 이롭지 않다. 일본의 정권 교체기에 한일 외교의 공백을 메울 최일선의 코리안스쿨 어깨가 무거워 보인다.

marry04@seoul.co.kr
2020-09-03 31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