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세월호와 ‘잉여짓’/정기홍 논설위원

[씨줄날줄] 세월호와 ‘잉여짓’/정기홍 논설위원

입력 2014-06-07 00:00
업데이트 2014-06-07 00: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세월호 희생자 49재(齋)를 지내던 날(3일) 두 개의 기사가 눈길을 끌었다. 하나는 민간 잠수사를 사칭한 30대가 “세월호 침몰 직후 (해경이) 구조를 막았다”는 허위사실을 유포해 1년 실형을 선고받은 것이고, 다른 하나는 세월호에 첫 진입했던 해경이 “경사진 배에 오르는 게 쉽지 않았다”고 해명한 것이었다. 해경의 첫 대응이 부실했다는 지적과 불가항력이었다는 항변이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잉여짓’이란 인터넷 용어가 있다. 잉여(남고 넘침)와 짓(몸 동작)을 합한 파생어다. 국내에선 취업을 못한 ‘88만원 세대’가 인터넷을 벗 삼아 시간을 보내는 행위를 빗댄 데서 비롯됐다. 글과 패러디에 비아냥 댓글을 달고, 퍼나르고, 낄낄대는 게 특징이다. 악플러의 온상이나 때로는 정반대로 집단지성으로 분출된다. ‘나꼼수’와 ‘일베저장소’도 이런 잉여짓이 만들어낸 일종의 정치놀이 장이다.

최근 들어 잉여짓이 시간 낭비가 아니라 ‘생산적 가치’로 달리 인식되고 있다. 잉여 행위를 쓸모없는 헛짓이 아닌, 창조를 끌어내는 에너지원으로 보는 것이다. 그 영역도 넓어지고 개념도 일반화하는 추세다. 연초에 인터넷을 달군 미국 조각가의 ‘나무 조각 돈다발’ 사진은 잉여짓의 긍정적 본보기였다. 가치 없는 나무깎기로 보이지만 창조 발상이 개입됐다는 뜻이다. 미국 뉴욕대의 클레이 셔키 교수가 인터넷과 스마트폰 시대를 맞아 TV 시청에만 쓰이던 ‘1조 시간’을 창조적으로 쓰는 ‘새로운 대중’의 탄생을 주장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 또한 잉여짓과 무관치가 않다.

잉여짓과 비슷한 의미의 ‘병맛’이란 말도 있다. ‘병신 같은 맛’, 즉 어이없고 형편없다는 뜻이다. 웹툰 등 인터넷상의 창작물 가운데 수준이 낮다고 판단되면 어김없이 댓글을 단다. 예컨대 선수들의 실책이 많은 경기를 ‘병맛 같은 경기’라고 칭한다. 잉여짓과 같이 조롱을 해대지만 이를 통해 재미와 함께 스트레스를 해소한다. 반대로 자기 비하에 빠진 스스로를 ‘병맛’으로 규정하기도 한다. 좋고 나쁨과는 별개로 잉여짓과 병맛은 젊은 세대에겐 휴식공간 역할을 하는 셈이다.

세월호 거짓말로 실형을 선고받은 30대는 놀랄 만큼 준비가 철저했다. 자신 명의의 두 개의 휴대전화를 이용, 다른 사람과 카카오톡을 주고받은 것처럼 꾸몄다. 그가 세월호 사태를 냉소적 유희의 대상쯤으로 생각했을까. 잉여짓의 잘못된 진화요, 지나침이 화를 불렀다. 해경이 첫 구조에 나선 시간대가 여유의 시간이었는지 사투를 벌여야 했던 시간이었는지도 논란거리다. 아직도 공분의 대상이다. 하지만 ‘인터넷 놀이’인 잉여짓과 병맛이 불만의 분출을 넘어 생활의 윤활유여야 하는 것은 분명하다.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2014-06-07 23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