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연말, 3단계 코로나 대유행을 봉쇄하고자 방역 강화를 위해 ‘카페 이용 금지령’이 떨어졌을 때 그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다. 카페를 운영하는 자영업자들이 치명타를 입겠구나 하고 생각했을 뿐, 이용자의 입장에서는 무슨 일이 벌어질지를 알지 못했던 것이다. ‘카페 봉쇄령’이 내려지자 당장 사람들을 만날 장소가 축소됐고 아쉽기 짝이 없었다. 점심으로 좋아하던 헝가리식 잡탕 수프인 ‘굴라시’를 해 주는 서울 정동의 음식점은 카페로 사업자등록을 한 것인지 테이크아웃만 가능하다고 했고, 광화문 교보문고 1층의 빵집 겸 카페도 의자를 모두 접어 두었다. 저녁에는 오후 9시면 영업을 금지하는 탓에 갈 수 있는 음식점도 한정됐는데, 노닥노닥 수다를 떨 수 있는 카페를 이용할 수 없으니 답답한 노릇이었다. 저녁도 먹고 술도 한 잔 하면서 마무리로 커피를 한 잔 할 수 있는 공간은 매우 한정됐고, 그래서 약속들은 줄줄이 취소됐다.
차가운 북풍이 서울 광화문에 몰아치던 지난 18일 노란색 불빛 아래서 사람들이 커피잔을 들고 두런두런 이야기하는 모습을 대형 창문으로 지켜보는 것만으로도 스산한 마음이 녹아내리고 있었다. 밑도 끝도 없이 훈훈해지는 마음이라니! 역시 사람은 AI시대에도 사회적 동물이다.
symun@seoul.co.kr
차가운 북풍이 서울 광화문에 몰아치던 지난 18일 노란색 불빛 아래서 사람들이 커피잔을 들고 두런두런 이야기하는 모습을 대형 창문으로 지켜보는 것만으로도 스산한 마음이 녹아내리고 있었다. 밑도 끝도 없이 훈훈해지는 마음이라니! 역시 사람은 AI시대에도 사회적 동물이다.
symun@seoul.co.kr
2021-02-01 2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