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PROK’가 한국?/김균미 대기자

[길섶에서] ‘PROK’가 한국?/김균미 대기자

김균미 기자
입력 2020-09-07 20:00
업데이트 2020-09-08 02: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달 25일 코로나19와 ‘백신 국가주의’를 우려하는 기사들을 훑어보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주도하는 백신 공유 프로젝트(코백스)에 참여하는 나라가 172개에 이른다는 자료가 링크돼 있어 읽어 봤다.

WHO에서 24일(현지시간) 발표한 보도자료였다. 읽어내려가다 잘못 봤나 싶어 멈칫했다. 평가 중인 2차 백신 후보물질 9개 가운데 1개가 한국에서 제출한 것이었는데 국가명이 “People´s Republic of Korea”로 돼 있다. 그것도 한 번이 아니라 두 번씩이나. 북한은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로 표기돼 있었다. 대한민국의 영어 표기는 Republic of Korea(ROK)이다.

한국은 WHO에 설립 이듬해인 1949년 가입했다. 지난 5월 22일부터 집행이사국으로 활동하고 있다. 집행이사국은 이번이 일곱 번째란다. 한국의 ‘K방역’과 바이오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고, 한국의 WHO에 대한 기여가 작지 않을 텐데 공식자료에 나라 이름을 틀리게 표기한 것을 어떻게 봐야 할까. 사흘 뒤인 27일 오후 다시 검색해 보니 다행히 바로잡혀 있었다. 언제 고쳐졌는지 모르나 실무자의 단순 실수로 넘어갈 사안은 아니다. 정부 관련 부처와 우리가 관심을 갖지 않으면 언제든 되풀이될 수 있다.

2020-09-08 29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