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흰머리 발굴/문소영 논설실장

[길섶에서] 흰머리 발굴/문소영 논설실장

문소영 기자
입력 2019-01-23 21:44
업데이트 2019-01-24 04: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근 가르마를 왼쪽으로 바꿨다. 오른쪽 앞이마에 제비초리가 있어서 그쪽으로 가르마를 타는데, 머리 형태가 너무 납작해지는 듯해서 그랬다. 머리를 한 갈래로 땋거나 쪽 찐 머리를 할 때는 푸르스름하게 흰빛이 인상적인 반듯한 가르마가 정석이었지만, 현대에는 지그재그 가르마 등이 인기다. 미용실에서 들은 바로는 가르마를 수십 년 똑같은 방향으로 하면 그 부분이 햇볕과 공기오염, 스트레스에 노출되는 탓에 머리숱이 적어진다고 했다. 그러면서 지그재그 가르마를 추천했다. 젊은이들도 과도한 스트레스에 숱이 적어져서인지, 미용실의 추천 덕분인지, 무심한 듯 자연스런 가르마를 하고 다닌다.

그런데 가르마를 바꾸고 예상치 못한 물질의 출현에 충격을 받았다. 흰머리가 한꺼번에 무더기로 나타난 것이다. 한두 개도 아니고 수십 개나 노출됐다. 용케 머리숱에 가려서 지금까지 발견되지 않던 것이다. 정수리 기준으로 왼쪽은 흰머리 유전자가, 오른쪽엔 검은 머리 유전자가 몰려 있었단 말인가. 상식적으로 모낭의 노화는 유비쿼터스 아닌가. 느닷없는 흰머리의 출현에 마음이 상하지만, 새치라며 뽑는 40대의 만용을 부릴 수 없었다. 듬성 머리보다는 흰 머리카락 한 올도 소중하니까.

2019-01-24 2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