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받아쓰기 시험/임창용 논설위원

[길섶에서] 받아쓰기 시험/임창용 논설위원

임창용 기자
임창용 기자
입력 2016-08-31 23:18
업데이트 2016-09-01 01: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46년 전 봄이었을 게다. 초등학교 입학 후 맞은 첫 시험 시간. 선생님께선 또박또박 문제를 읽으셨다. 아버지, 어머니, 할아버지, 학교…. 정확히 기억나지는 않지만 그 정도 어휘들이었던 것 같다. 열 문제를 백지에 받아 써 선생님께 제출했다. 선생님은 시험지를 채점해 다음날 나눠 주셨다. 빨강 색연필로 그은 동그라미가 세 개였다. 시험, 점수에 대한 개념 자체가 없던 난 ‘세 개나 맞혔다’는 게 스스로 기특했고, 어머니께 보여 드리고 싶어 집으로 달음박질했다. 야단맞지는 않았지만, 어머니의 실망 어린 눈빛을 아직도 잊을 수 없다.

어리숙함이 빚은 ‘참사’였지만, 당시 초등학교에 갓 입학한 아이들의 한글 실력은 그 정도였다. 자기 이름 석 자 정도만 ‘그리는’ 수준에서 입학해 한글을 처음부터 배웠다. 그래도 첫 학기를 마칠 즈음이면 대부분 한글을 깨쳤다. 한글은 기본이고, 영어까지 익혀 들어가는 요즘 아이들을 보면 그야말로 금석지감이다. 입학 전 선행학습 없이 학교에서 한글을 책임지고 가르치게 하겠다고 서울교육청이 엊그제 발표했다. 한글 교육에 관한 한 한 세대 전으로 돌아가는 셈. 하지만 극성스런 부모들이 아이를 놔줄지 모르겠다.

임창용 논설위원 sdragon@seoul.co.kr
2016-09-01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