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보리/최광숙 논설위원

[길섶에서] 보리/최광숙 논설위원

최광숙 기자
최광숙 기자
입력 2016-05-31 23:06
업데이트 2016-06-01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메일의 아이디(ID·Identity)로 ‘보리’를 쓴다. 가끔 자료를 받아야 할 경우 상대방에게 아이디를 불러 주면 “쌀, 보리 할 때 그 보리예요?” 하고 묻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런저런 설명을 하자면 길어지니까 그렇다고 답한다.

그런데 그제 공직에 있는 한 친구가 아이디를 문자로 알려 줬더니 “참 좋다. 지혜, 깨달음…, 혹 불자니?”라고 물었다. 불교에서 보리(菩提)는 깨달음의 지혜를 말한다. 사실 보리의 뜻을 아는 이가 많지 않기에 친구의 폭넓은 상식에 다소 놀라고 있는데 확 깨는 답변이 돌아왔다. “참고로 우리 집 강아지 이름도 ‘보리’야. ㅋㅋ”

그 순간 돈벌이에 급급해 새끼 출산을 늘리고자 인위적으로 강아지를 번식시키는 ‘강아지 공장’ 논란이 떠올랐다. 어찌 새끼를 낳는 고귀한 일이 ‘출산 학대’가 되었는지 부끄럽기 짝이 없는 현실이다. 인간의 탐욕이 빚어낸 것이 어디 강아지 공장뿐일까. 이미 우리 사회에서는 돈 앞에 무너져 생명도, 양심도, 인격도, 도리도 저버리는 일들이 다반사가 됐다.

강아지 주인인 친구에게 문자를 보냈다. “(보리가 깨달음을 얻어) 열반하실 때까지 잘 모셔라.”

최광숙 논설위원 bori@seoul.co.kr
2016-06-01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