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바로미터/문소영 논설위원

[길섶에서] 바로미터/문소영 논설위원

입력 2014-06-23 00:00
업데이트 2014-06-23 00: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오랫동안 ‘바로미터’가 한글이라고 굳게 믿었다. 그래서 영어 책에서 바로미터(barometer)를 발견하고 경악했다. ‘관피아 척결의 바로미터’라고 표현하듯이 ‘바로미터=잣대’로 이해했는데, 기압계라는 영어였다. 왜 이런 착각을 했을까. 처음엔 ‘영어실력이 부족했군’이라며 치워놓았다. 최근 원인을 찾아냈다.

1970년대에는 게임기나 컴퓨터 등 오락거리가 없었다. 읽을거리도 많지 않아 휘발유 냄새가 마음을 설레게 하는 조간신문 읽기가 최고의 오락이었다. 아빠가 읽고 치워둔 세로쓰기 조간신문을 사회면부터 왼쪽으로 넘기면서 1면 종합면까지 읽는데, 당시에 한자를 많이 섞어서 썼다. 한글도 갓 뗀 어린이는 요령껏 한자를 피해가 읽으며 어렴풋이 이해를 해나갔을 것이다. 그때 바로미터는 영어였기 때문에 한자로 표기할 수 없었다. 당시는 영어를 모르니 한자가 아니면 당연히 한글이라고 착각한 것이다. 영어를 남발하던 까마득한 선배 기자들 탓이었다. 문득 오해가 오해를 낳아서 잘못된 지식의 체계 위에서 착각하며 세상을 사는 게 아닐까 하고 걱정된다.

문소영 논설위원 symun@seoul.co.kr
2014-06-23 31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