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이한 아트에세이스트
작년 12월 초에 강원도 횡성으로 이사했다. 딴에는 오래 고민한 결과였다. 돌아가는 판이 시간강사는 영 미래가 보이질 않는다. 어느덧 나이는 먹어, 운이 좋아 잘리지 않고 버틴다 해도 몇 년이나 할 수 있을지 자신이 없다. 돈 안 되는 일은 번역도 마찬가지다. 그러니 번역가인 남편이나 나나 도시에선 생존 자체가 불투명하다. 그래서 14년간 살았던 경기도 원당의 다세대주택을 팔고 농촌주택자금 융자를 받아서 집을 지었다. 작은 집에 사는 돈 없는 사람도 품위 있는 공간에서 살 권리가 있다고 주장하며 건축가에게 설계도 부탁했다. 다 지어진 집은 겉은 단순하지만 내부는 나름 개성이 있어 우리 마음에 꼭 들었다.
사람들은 또 부러워했다. “네가 부자다”라는 말을 수도 없이 들었다. “나도 너처럼 살고 싶다”고도 했다. 벼랑으로 밀려서 떨어지기 전에 죽지 않으려고 들어온 시골인데 사람들이 부러워하니 어째 좀 이상하다. 그들은 내가 이렇게 할 수 있는 것도 역시 “자식이 없어서”이고, 거기에 더해 “직장이 없어서”라고 했다. 어차피 프리랜서라서 매일 출퇴근해야 하는 정규직이 아니니, 어디에 살든 무슨 상관이냐는 거다. 할 말이 없는 건 아니지만 딴은 맞는 말이기도 하다. 어쨌든 나는 그놈의 ‘자식이 없어서’ 돈을 많이 못 벌어도 1억 버는 사람보다 여유가 있으며, ‘자식이 없어서’ 매인 데 없이 ‘살고 싶은 시골’에서 살 수도 있는 무척이나 행복한 사람이다.
그러니 이제 막 세상을 살아가려는 사람들에게 해 줄 말은 간단하다. 행복하고 싶거든 “자식을 낳지 마라”. 그러면 부자를 불쌍하게 여길 정도로 여유가 생기고, 도시에서 살지 않아도 되며, 자식 걱정에 골치 썩을 일도 없다. 하지만 굳이 그런 말도 필요 없다. 요즘 젊은이는 현명해서 내가 말하지 않아도 이미 자식 낳아 기를 생각이 없다니 말이다.
2020-09-30 2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