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광고 엿보기] ‘서울’이라는 이름의 잡지/손성진 논설고문

[근대광고 엿보기] ‘서울’이라는 이름의 잡지/손성진 논설고문

손성진 기자
입력 2020-09-20 17:22
업데이트 2020-09-21 02: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919년 12월 23일자 매일신보에 실린 잡지 ‘서울’의 창간호 광고.
1919년 12월 23일자 매일신보에 실린 잡지 ‘서울’의 창간호 광고.
한국 최초의 잡지는 일본 도쿄에서 1896년 창간된 ‘친목회회보’로 본다. 이를 기점으로 1996년 한국 잡지 100년을 맞이했고 현재 한국 잡지는 124년 역사를 갖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발행된 최초의 잡지는 ‘코리안 리포지터리’(The Korean Repository)로 1892년 1월 영국인 선교사 올링거 부부가 창간했다. 1905년에 체결된 을사조약이 기폭제가 돼 많은 잡지가 발간됐다. 일제 침략에 대항한 대표적인 잡지는 1906년 창간된 ‘대한자강회월보’와 ‘서우’(西友)였다. 1908년 11월 최남선이 창간한 ‘소년’은 근대적 잡지 형태를 갖추고 잡지 문화를 크게 발전시키면서 잡지의 신기원을 마련했다.

그러나 1910년 8월 29일 경술국치 이후 일제는 신문과 잡지 등의 매체를 극렬하게 탄압하며 언론의 암흑기를 만들었다. 1909년 공포한 ‘출판법’은 저작물의 사전 원고 검열, 출판 허가주의를 규정하고 있었으므로 잡지와 출판물들의 기사는 자동적으로 출판법의 판정을 받아야 했고, 잡지는 문예·교양물만 게재했다. 일제의 무단정치 기간(1910~1919)에는 종교·기술 분야와 문학전문지들만이 허가되고 간행될 수밖에 없었다. 이 기간에 발행된 잡지는 모두 49종뿐으로 최초의 문예동인지인 ‘창조’도 그중의 하나다.

3·1운동 이후 일제는 이른바 문화정치를 내세우며 겉으로는 유화책을 폈는데, 1919년 ‘10월 유고문(諭告文)’을 통해 언론·집회·출판 등에서 제재를 완화할 뜻을 밝혔다. 그 후의 출판법에 따라 최초로 발행된 종합잡지가 1919년 12월 15일 창간된 ‘서울’이다. 편집인 겸 발행인 장도빈(1888~1963)은 사학자이자 대한매일신보 주필을 지낸 언론인이었고 건국훈장 독립장을 받은 독립운동가다. 광복 후에는 ‘민중일보’를 창간하고 단국대학을 설립해 초대 학장을 지낸 교육자이기도 하다. 1년 동안 통권 8호까지 발행된 ‘서울’은 여전히 출판법에 의한 잡지여서 시사평론, 정치적 논설은 싣기 어려웠고 내용이 빈약할 수밖에 없었다. 이는 ‘조선독립운동사건 전말’, ‘세계에 대한 조선인의 요구’ 등 각호에 실으려고 했던 많은 기사가 전문 삭제당했기 때문이었다. 일제의 언론 탄압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던 것이다.

이 잡지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서울’이라는 제호다. 서울은 신라의 ‘서라벌’에서 유래해 내려오던 순우리말이며 지금은 고유명사이기도 하다. 조선시대에 ‘한성’(漢城)이었던 서울의 공식 지명을 일제는 ‘경성’(京城)으로 바꾸었다. 독립신문에는 ‘서울’이라는 단어가 흔히 나타나는데 수도라는 뜻의 보통명사로 쓴 것으로 보인다. 광복 후 서울의 지명은 경성, 한성, 서울로 혼용되다가 1946년 8월 15일자로 서울로 확정됐다.

2020-09-21 30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