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해외에서 꽃피는 재외동포 차세대/조규형 재외동포재단 이사장

[기고] 해외에서 꽃피는 재외동포 차세대/조규형 재외동포재단 이사장

입력 2014-11-07 00:00
업데이트 2014-11-07 02: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조규형 재외동포재단 이사장
조규형 재외동포재단 이사장
지금 세계는 에볼라 바이러스와 전쟁 중이다. 서아프리카 3국에서 시작된 에볼라로 인해 지금까지 9000여명이 감염됐고 그중 절반이 숨졌다고 한다. 이런 가운데 국제사회는 지금 에볼라와의 전면전을 이끌고 있는 두 명의 한인,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과 김용 세계은행 총재의 리더십에 주목하고 있다.

이 중 김 총재는 이민 1.5세대로 각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기고 있는 재외동포 중 한 사람이다. 그런가 하면 주한 미국대사로 3년의 임기를 마치고 미 국무부 동아태담당 부차관보로 임명된 성 김 역시 한민족의 피가 흐르는 대표적인 차세대 재외동포다. 그는 임기를 마치고 출국하면서 자신의 블로그에 “제가 출생한 나라에 미국 대사로 돌아온 것은 크나큰 영광”이라며 모국에 대한 애정을 표현했다.

우리는 국토가 넓지도 않고 부존자원이 많지도 않다. 이를 억척 같은 끈기와 열정, 근면과 성실, 개척과 도전정신, 세계적인 교육열 등 ‘소프트파워’로 오늘날의 대한민국을 일궈 냈다. 그 중심에는 김 총재와 성 김 부차관보처럼 각 분야에서 일가를 이루는 수많은 재외동포들이 있다. 이들이 바로 국력의 외연이자 민족의 자산인 것이다.

우리의 이민 역사는 1864년 러시아 이주를 기점으로 올해 150년째다. 남북한 총인구의 1할인 700여만명의 동포가 세계 170개국에 거주하고 있다. 국가별 규모로는 중국(4500만명), 인도(2500만명), 유대인(800만명)에 이어 세계 네 번째다.

재외동포의 해외이주 배경, 경로, 정착방식, 모국 유대감의 수준은 서로 다르다. 이들을 모국과 연결시키고, 타 지역에 거주하는 동포들 간 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일은 생각보다 쉽지 않다. 긴 이주 역사 속에 재외동포의 정체성 약화는 불가피하다. 정부는 1997년 재외동포들의 민족적 유대감을 유지하고 거주국 사회에서 모범적 구성원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재외동포재단을 출범시켰다.

재단은 그동안 재외동포의 안정적인 현지 정착을 위해 다양한 사업을 펼쳤다. 특히 이민 1.5세 이후이거나 40세 미만인 ‘차세대’를 위한 모국 초청 사업, 차세대 단체 육성사업, 현지 및 해외 네트워크 사업 등을 전개해 우수인재 유치에 역량을 쏟았다.

차세대 재외동포의 육성은 앞으로의 동포사회를 떠받칠 우리의 미래다. 젊은 세대들이 어른 세대들과 소통하지 않거나 뉴커머들이 올드커머들의 지혜와 경륜을 무시해서는 동포사회가 계속성을 유지할 수 없다.

화교나 유대인들은 소시민적인 삶을 살면서도 힘을 하나로 뭉쳐 주류 사회를 움직이는 엄청난 정치적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이는 기성세대가 너나없이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발휘하기 때문이며, 성공한 엘리트들이 성공하지 못한 일반인들의 모범이 되기 때문이다.

지난 4일 서울에서 개막한 ‘2014 세계한인차세대대회’가 7일 막을 내린다. 전 세계에 흩어져 살면서 저마다의 노력과 끈기로 최고의 자리에 올라간 우리 차세대 재외동포들을 껴안아 우리의 힘으로 키워야 할 때다.
2014-11-07 30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