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프로 스포츠 관중 허용, 방역수칙 철저히 지켜져야

[사설]프로 스포츠 관중 허용, 방역수칙 철저히 지켜져야

김상연 기자
김상연 기자
입력 2020-07-25 05:00
업데이트 2020-07-25 05: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부가 어제 코로나19로 금지했던 프로스포츠의 관중 입장을 단계적으로 허용키로 했다. 프로야구는 26일부터, 프로축구는 다음달 1일부터 경기장 수용 가능 인원의 10% 이내에서 관중을 받는다. 코로나19가 종식되지 않은 상황에서 스포츠 경기장에 사람들이 대거 몰리는 것은 물론 불안감을 준다. 하지만 코로나 사태가 하염없이 장기화하는 상황에서 유관중 전환을 더이상 미루기엔 관련 업계의 경영난이 심각하다는 점에서 관중 입장은 불가피해 보인다.

지난 5월 5일 개막한 프로야구의 경우 두 달 이상 관중 없이 경기를 치른 탓에 시즌 절반이 다 돼가는 현재 관중 수입이 ‘0원’이다. 5월 8일 개막한 프로축구도 마찬가지다. 이에 따라 구단들은 경영난을 호소해왔다. 구단 수입이 줄면 직원들의 월급 삭감과 정리해고로 이어질 우려가 크다. 실제로 미국 프로야구 메이저리그와 유럽 프로축구 리그 등에서 이미 벌어지고 있는 일이다. 뿐만 아니라 경기장 안내요원 등 비정규직들도 일자리를 잃게 된다. 경기장 주변 치킨집 등 식당들은 벌써부터 생계난을 호소해왔다.

또 워터파크와 해수욕장 등 다른 대형 위락시설은 모두 개방하면서 프로스포츠만 관중을 금지하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지적도 제기돼 왔다. 감염 위험성으로 따지면 스포츠 경기장보다 물놀이 시설이 더 심각하지 않으냐는 것이다. 우리보다 코로나19 사태가 심각한 일본 프로야구는 지난 10일부터 이미 관중을 받기 시작했다. 정부가 코로나19가 아직 잡히지 않은 상황에서 유관중 결정을 내린 것은 이런 사정들을 두루 감안한 고육지책으로 보인다.

하지만 유관중 전환이 불가피하다고 해서 구단들의 책임이 없어지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관중 입장이라는 위험 요소가 추가된 만큼 더 큰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 한국야구위원회와 한국프로축구연맹은 이미 코로나19 대응 매뉴얼을 마련해놨다. 경기장 입장시 발열 체크, 전자출입명부 시스템 도입, 마스크 상시 착용, 관람석에서 취식 금지, 육성응원 금지 등이다.

문제는 초반에는 긴장해서 수칙을 잘 지키다가 시간이 가면서 느슨해질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국내 프로스포츠 구단에서 확진자가 한 명도 나오지 않은 것은 그만큼 긴장해서 관리를 철저히 했다는 얘기다. 관중이 예전처럼 들어온다고 해서 긴장감도 코로나19 이전으로 돌아가선 안 된다. 경기장에 들어가는 관중들 역시 방역 수칙을 적극 준수하겠다는 자세가 필요하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