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소규모 집단 감염, 서울·경기 방역 긴장감 높여야

[사설] 소규모 집단 감염, 서울·경기 방역 긴장감 높여야

입력 2020-03-10 17:56
업데이트 2020-03-11 02: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 구로구의 한 콜센터에서 어제 오후 5시 현재 66명이 신규 확진자가 나타났다고 서울시가 밝혔다. 이는 방역 당국이 이날 오전 집계한 확진환자 34명보다 2배 가까이 늘어났다. 207명의 직원 가운데 상당수는 검사 결과가 나오지 않았고, 대부분 마스크 없이 근무했던 점을 고려하면 추가 확진환자는 더 늘어날 수도 있다. 같은 건물 내 근무자도 550명 더 있고, 인천시와 경기도 거주자가 많아 자칫 수도권 전역으로 코로나19가 확산하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이만저만 아니다.

콜센터 감염이 우려되는 이유는 자칫 인구 밀집지역에서 또다시 대규모 감염으로 이어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서울·수도권 거주자 대부분은 지하철과 버스 등 대중교통을 이용해 출퇴근하기 때문에 감염 경로 파악이 쉽지 않은 신규 확진환자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수 있다. 방역 당국과 서울 수도권 자치단체는 행정 관할을 따지기보다 집단 감염에 대한 역학조사와 감염차단 조치에 신속히 나서야 할 것이다.

최근 코로나19 확진환자가 일일 100명대로 줄었다. 대구·경북과 신천지 관련자 등에서 환자 발생이 크게 준 덕분이지만, 구로 콜센터와 유사한 소규모 집단 감염 사례가 계속되고 있어 안심해선 안 된다. 경산의 대남병원과 대구의 문성병원, 봉화의 푸른요양원, 천안의 줌바댄스 교습소 등 전국서 소규모 집단 감염이 발생하고 있다. 현재 집단감염이 전체 확진환자의 80%이다. 국민안심병원인 성남의 분당제생병원에서도 확진환자가 발생했다. 특히 수도권에서 소규모 집단 감염을 막아내지 못한다면 코로나19는 언제든 대규모 감염사태로 비화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방역당국과 지자체는 대구의 한마음아파트, 서울의 콜센터, 요양병원 등 지역 내 감염 취약시설이나 감염 위험 행위 등을 사전에 파악해 선제적인 방역을 해야 한다. 사업자들은 당분간 재택근무 등 유연 근무제를 적극 활용하고 개인들은 사회적 거리두기를 유지해야 한다.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고 예방수칙을 따라야 한다. 모두가 긴장의 끈을 놓지 말아야 코로나19를 하루라도 빨리 퇴치할 수 있다.

2020-03-11 35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