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따로 국조’ 여야, 세월호 희생자 우롱하나

[사설] ‘따로 국조’ 여야, 세월호 희생자 우롱하나

입력 2014-06-26 00:00
업데이트 2014-06-2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어제 국회 세월호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소속 여야 의원들은 밥과 국을 따로따로 담아내는 따로국밥처럼 각기 별도로 움직였다. 새누리당 소속 심재철 특위 위원장과 조원진 간사 등 여당 특위 위원 9명은 인천을, 새정치민주연합 김현미 간사를 비롯한 야당 특위 위원 8명은 목포와 진도를 방문, 제각각 현장조사를 벌였다. 여야 의원들이 ‘따로 국조’를 벌인 이날도 민간 잠수사들의 실종자 수색은 계속됐고, 단원고 생존 학생들은 사고 후 71일 만에 눈물을 흘리며 등교했다. 안 잡는 건지 못 잡는 건지 유병언 전 세모 회장은 35일째 도피 행각을 이어갔다. 이처럼 세월호 참사는 진행형이다.

여야가 하나로 힘을 모아 전력을 다해 뛰어도 모자랄 판에 따로따로 움직여 도대체 어쩌자는 건지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가뜩이나 기관보고 일정 등을 놓고 첨예하게 대립하며 20여일을 그냥 흘려보내고 있지 않는가. 현장조사마저 이렇게 따로따로, 맹탕으로 진행해서야 어떻게 세월호 참사의 진상 규명을 할 수 있을지 걱정스러울 뿐이다. “세월호 참사 이전과 이후는 달라야 한다”며 여야는 이구동성으로 철저한 진상 규명과 재발 방지책 마련을 다짐하지 않았는가. 세월호 희생자들과 유가족, 국민들을 이렇게 우롱할 수 있다니 의원들의 두꺼운 얼굴 속 진면목을 들여다보고 싶을 정도다.

이게 우리 정치의 현실인지도 모르겠다. 참사마저도 정략적으로 이용하는 못된 정파주의가 그만큼 깊숙하게 뿌리내리고 있다. 여야는 지난달 25일 어렵사리 세월호 국조특위를 출범시켰지만 지금까지 한 일이라고는 서로 고함치고, 따로 놀며 허송세월했을 뿐이다. 증인 채택 및 증인 명기를 놓고 티격태격하더니 기관보고 일정을 놓고 지루한 줄다리기를 계속하고 있다. 월드컵 기간에는 안 된다며 고집부리는 야당이나, 7·30 재·보선에 이용될 우려가 있다며 어깃장 부리는 여당이나 각각의 머릿속에는 오로지 ‘노림수’와 ‘속셈’만 가득 들어차 있다. 서로 유불리만 따지니 타협점이 찾아질 리 만무하다.

진도 팽목항에 남아 있는 실종자 11명의 가족들은 “기다림보다 더 고통스러운 것은 국민들 속에 벌써 잊혀 가고 있다는 것”이라며 서서히 망각돼 가는 현실을 우려하고 있다. 학교로 복귀한 단원고 생존 학생들도 “세월호를 잊지 말아달라”며 울먹였다. 세월호 국조를 도대체 왜 하는가. 세월호 참사의 진상을 제대로 밝히고, 세월호 이후의 달라져야 할 대한민국을 위해 여야가 머리를 맞대기로 한 것 아닌가. 이제라도 여야는 초심으로 돌아가 국정조사의 조속한 가동에 합의해야 한다. 만약 이렇게 국정조사가 흐지부지된다면 여야 모두 엄청난 국민적 심판에 직면할 것이라는 점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2014-06-26 31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