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동족의 슬픔 외면한 채 핵카드 빼든 북한

[사설] 동족의 슬픔 외면한 채 핵카드 빼든 북한

입력 2014-04-24 00:00
업데이트 2014-04-24 00: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북한의 4차 핵실험이 임박했다는 징후를 다수 포착했다고 정부가 밝혔다. 함경북도 길주 풍계리 핵 실험장 일대에서 많은 활동이 감지돼 한·미 당국이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는 것이 국방부 대변인의 전언이다. 핵 실험장 일대에 사람과 차량의 활동이 증가하고, 입구에 가림막이 설치된 갱도 내부로 일부 장비와 자재가 반입되는 장면도 위성에 찍혔다는 것이다. 여기에 “4월 30일 이전 큰일이 일어날 것”이라는 북의 위협도 있었다니 도발 가능성은 매우 높은 듯하다. 핵실험이 25일을 전후해 이뤄질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이날 박근혜 대통령과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서울에서 정상회담을 갖는다. 북한으로서는 인민군 창건일이기도 하다. 한반도 상황을 급격히 악화시킬 수밖에 없는 북한의 핵실험은 어떤 경우라도 있어서는 안 된다. 더구나 지금은 세월호 참사로 남녘 동포들이 비탄에 잠겨 있지 않은가. 그럼에도 핵실험 카드를 빼들었다는 것은 실망스럽다.

북한의 핵실험은 돌이킬 수 없는 악수(惡手)가 될 것이다. 새로운 핵무기의 개발로 국제관계에서 목소리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는 철저한 오산이다. 오히려 북한이 추가 핵실험을 강행할 경우 국제사회는 과거와는 다른 차원의 제재를 예고하고 있다. 우선 유엔이 안전보장이사회 대북 결의에 포함된 자동개입 조항에 따라 금융과 무역이 포함된 초강력 제재에 나선다. 여기에 북한의 유일한 대외통로인 중국조차 핵 문제만큼은 국제사회와 공조를 다짐하고 있다. 북한이 핵실험을 고집하면 결국 경제가 붕괴하면서 파국이 도래하는 것이 필연적 수순이라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 한편으로 남한 주민들이 한결같이 상주(喪主)된 심정으로 어린 학생들이 다수 희생된 참사의 수습 과정을 지켜보는 상황에서 핵실험은 도리일 수 없다. 국제사회가 외면한다 해도 마지막에는 북한 주민에 손을 내밀 존재가 누구인가. 이들까지 등을 돌리게 만들려는가.

한·미 정상회담을 겨냥한 북한의 도발은 핵실험일 수도 있고, 또 다른 방식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이 관계 당국의 관측이다. 하지만 어떤 도발이든 북한이 챙길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여기에 남녘 동포의 마음까지 잃어버리는 손실까지 북한당국이 감수할 이유는 없을 것이다. 결국 북한이 활로를 찾으려면 국제사회가 요구하는 대로 비핵화 의지를 갖고 6자회담 테이블로 돌아오는 방법밖에는 없다. 한·미 정상회담에서도 북한을 설득할 수 있는 실질적인 논의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2014-04-24 31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