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툭 하면 멈춰서는 원전 근본대책 세워라

[사설] 툭 하면 멈춰서는 원전 근본대책 세워라

입력 2013-08-24 00:00
업데이트 2013-08-2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원전 가동 중단 사태가 해결될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전력 수급난 속에 지난 21일에는 영광원전 한빛 6호기(100만㎾급)의 가동이 중단됐다. 지난 5월 말 원자로 위조부품 사용이 확인되면서 신고리 1, 2호기와 신월성 1호기 등의 가동도 전면 중단된 상태다. 한빛 6호기의 갑작스러운 가동 중단으로 이달 말 예정된 한빛 1호기(95만㎾급)의 정기적인 정비도 연기하기로 했다. 향후 어느 원전이 또 중단될지, 이러다가 대형 사고가 발생하지 않을지 여간 걱정스럽지 않다.

어제 원전안전운영정보시스템(OPIS)에 따르면 지난 2004년부터 이달까지 10년간 152건의 원전 고장이 발생했다고 한다. 한달에 평균 1.3회꼴이다. 고장 사고 가운데 핵심인 원자로 계통의 결함이 늘어나 대형 사고의 우려도 커지고 있다. 또 2011~2013년 원전과 화력발전소 등의 기저발전기 고장 일수가 1509일에 이른다는 조사결과도 있다. 이에 따른 대체 전력 구입 비용도 무려 5조 7000억원에 달한다. 이 모두가 미검증 부품 사용, 정밀조사 미비 등에 따른 결과이다. 한빛 원전의 가동 중단은 이런 관점에서 사사하는 바가 크다. 중단된 원전을 재가동시키는 데는 보통 6개월이 걸린다고 한다. 그런데 최근 제어케이블을 공급하는 JS전선과 모기업 LS전선이 납품 비리에 연루된 사실이 밝혀지면서 재가동이 미뤄질 가능성이 커졌다. 원전 당국은 미국 등에서 부품을 수급해 교체하는 데 5~6개월이 소요될 것으로 보고 있다.

원전 사고는 발생하면 치명적이다. 따라서 재가동 시 국민의 안전이 최우선 판단 기준이 되어야 한다. 최근 10년간 위조된 품질검증서와 시험성적 서류로 납품된 원전 부품은 561개 품목에 1만 3794개에 달한다고 한다. 이는 한국산 원전 부품과 당국의 관리감독 기능을 믿을 수 없다는 의미다. 가동 중단된 원전은 물론, 가동 중인 원전도 정기점검 때 불량 부품 사용 유무를 철저히 가려내야 한다. 저간에 불거진 원전 비리들은 이달 말쯤 있을 검찰의 중간 수사결과 발표에서 명명백백하게 밝혀지기를 기대한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와 같은 재앙을 막으려면 공급업체의 부품 수급 구조를 뜯어고치는 등 근본적인 처방이 마련돼야 한다.

2013-08-24 27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