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軍 정신교육 강화 ‘이념편향’ 흘러선 안 된다

[사설] 軍 정신교육 강화 ‘이념편향’ 흘러선 안 된다

입력 2013-08-12 00:00
업데이트 2013-08-1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군당국이 폐지된 지 14년 만에 장병의 정신교육을 전담하는 ‘국방정신전력원’을 다시 설립하기로 했다. 1977년 박정희 대통령 시절 설립된 국방정신교육원이 국민의 정부 초기인 1999년 ‘대북 햇볕정책’ 등에 따라 폐지됐다가 새롭게 부활하는 것이다. 장병들의 정신교육을 강화해 군 전력을 제고한다는 취지에 이의를 달 사람은 없을 것이다.

국방부는 어제 “장병의 정신교육을 각 군에 맡기다 보니 (종북교육 논란 등) 불필요한 오해를 낳아 전문성과 일관성을 갖춘 교육기관을 만들기로 했다”고 밝혔다. 국방정신전력원은 지휘관·정훈장교 등 정신교육 교관 교육, 교육 콘텐츠 생산 등을 맡는다. 박근혜 대통령도 지적했듯 강한 군대는 장병들의 강한 정신력이 있어야 가능하다. 군 전력은 장비의 첨단화뿐 아니라 장병 개개인의 정신력에 크게 좌우되는 만큼 안보교육 강화는 새삼 강조할 필요도 없다. 하지만 경계해야 할 것이 있다. 그동안 군의 정신교육은 ‘이념의 골’에 함몰된 측면이 없지 않다. 유신시대와 민주화 투쟁을 연계한 시험을 치러 논란을 불렀고, 장교와 사병이 북한체제를 찬양하는 카페에 가입해 충성맹세를 한 적도 있다. 그런가 하면 ‘종북세력 척결’ 등 이념적인 요소가 다분한 교육을 강조해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장병의 정신교육이 정치지형에 따라 중심을 잃어서는 안 된다.

국익의 최선봉은 단연 국가안보다. 군의 안보교육은 군의 권리이자 의무다. 장병의 정신교육이 시대의 흐름에 뒤처지지 않게 살아 있는 내용이 되도록 콘텐츠를 갖추는 게 관건이다. 교육장에서 나오면 금방 잊고 마는 일과성 교육은 안 하느니만 못하다. 젊은이의 성향에 맞춰 콘서트 형식의 새로운 포맷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북한에만 한정하지 말고 동북아 정세 등 국제적 식견을 넓힐 수 있는 글로벌 시각의 교육도 고려할 만하다. 그동안 지적돼 온 ‘경색된’ 군 정신교육의 틀에서 과감히 벗어나라는 말이다. 국방부도 “정신전력원은 과거 정신교육원에서 했던 사상교육을 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새롭게 시작하는 군의 정신교육이 획일주의와 이념 편향으로 흐르지 않는 균형 잡힌 ‘전인적’ 교육이 되기를 기대한다.

2013-08-12 31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