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턱밑까지 차오른 전력위기 절전밖에 없다

[사설] 턱밑까지 차오른 전력위기 절전밖에 없다

입력 2012-07-26 00:00
업데이트 2012-07-26 00: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무더위로 전력 사정이 살얼음판을 걷고 있다. 엊그제 7328만㎾를 기록, 올여름 들어 최고로 치솟았던 전력수요는 어제 7314만㎾로 조금 떨어졌지만 이번에는 예비전력, 전력예비율이 최저치를 기록했다. 어제 전력공급능력이 7691만㎾로 그제보다 41만㎾ 감소했기 때문이다. 폭염특보에 열대야 등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됐을 뿐인데도 전력사용량은 날씨에 따라 하루가 다르게 늘어나니 여름을 어떻게 날지 걱정이 앞선다. 사정이 이런데도 국민들의 전력난 불감증은 여전해 정부가 마련한 절전대책에 대한 호응도가 높지 않다. 절전운동에 적극 동참한 일본의 예를 반면교사로 삼아야 할 것이다.

어제 우리나라는 오후 2시 5분부터 15분간 예비전력 377만㎾에 전력예비율은 5.15%로 떨어져 비상이 걸렸다. 에어컨 등 냉방수요가 몰렸기 때문이다. 원전 몇기만 가동이 중단돼도 전력공급에 차질을 가져올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었다. 그나마 기업체 등의 협조로 170만㎾의 수요를 절감해 얻은 수치다. 정부는 빠듯한 전력사정에 대비해 지난달부터 절전대책을 실시하고 있으나 성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6월 전력판매실적이 이를 말해 준다. 지난달 전력판매량은 366억 1000만㎾로 전년동기 대비 2.3% 증가했다. 지난 10년간 6월 평균 증가율 5.14%에 비하면 절반 이하로 떨어진 것이지만 절전대책이 거둔 성과로는 초라하다. 대대적인 절전운동에 나선 일본과 비교하면 미흡하기 짝이 없다. 일본의 경우 지난달 전력사용량이 2010년에 비해 무려 13%나 감소했다. 부문별로 보면 산업용이 5.6% 감소한 데 비해 가정용과 업무용은 각각 10.2%, 13%로 감소폭이 월등히 높았다. 가정, 기업 등에서 전기 아껴쓰기에 적극 동참한 것이다. 반면 우리나라는 6월 전력 판매량을 용도별로 보면 산업용이 2.8% 증가한 데 비해 일반용은 3%로 더 높았다. 특히 전력을 싸게 공급하는 농사용은 무려 15.7%나 증가해 전력난 불감증의 심각성을 보여 줬다.

전력사정이 위험수위인 만큼 국민들이 절전에 앞장서야 한다. 가정, 기업에서 전력수요가 높은 시간대에는 에어컨 가동을 일시 중단하는 등 절제력을 발휘해야 한다. 정부도 기존의 절전대책이 국민들에게 잘 파고들 수 있도록 정책의 실효성, 완성도를 높여야 한다. 절전이 곧 발전이다.

2012-07-26 31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