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정치권은 혹한에 늘어선 구직행렬을 보라

[사설] 정치권은 혹한에 늘어선 구직행렬을 보라

입력 2012-02-06 00:00
업데이트 2012-02-06 00: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주 토요일자(4일자) 서울신문을 비롯한 주요 신문에는 길게 늘어선 구직행렬 사진이 큼지막하게 실렸다. 하루 전날 경기도·의정부시·신세계가 공동으로 의정부 민자역사에서 마련한 취업박람회장을 찾은 서민들의 모습이었다. 4월 문을 여는 신세계백화점 의정부점에 입점할 38개 기업(78개 브랜드)이 1500명을 뽑는 채용박람회에 영하 20도의 강추위에도 1만 3500명이 몰렸다. 박람회 주최 측은 6000명 정도를 예상했으나, 6000장의 이력서는 순식간에 동났다.

이 사진은 요즘 일자리의 현주소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월급이 그렇게 많지도 않고, 근무여건이 꼭 좋다고만 볼 수 없는 일자리이지만 20~60대들이 앞다퉈 구직행렬에 나선 것은 그만큼 취업하기가 힘들다는 것을 말해준다. 학교를 졸업하고도 갈 곳이 없는 청년층, 직장에서 밀려난 뒤 일자리를 알아보러 다니는 40~60대들이 한곳에 운집한 것이다. 일자리에 목말라하는 우리 이웃을 보는 것 같아 우울하기만 하다. 사정이 이런데도 정치권은 여야 가릴 것 없이 4월 총선, 12월 대통령선거만 염두에 두고 표 계산에 골몰하고 있다.

정치권은 나라의 곳간은 아랑곳하지 않고 앞다퉈 퍼주기식 선심성 공약을 쏟아내고 있다. 포퓰리즘 공약 남발에는 여야가 따로 없다. 정치권은 나라의 살림이야 어떻게 되든 표만 얻고 보자는 얄팍한 계산으로 선심성 공약 경쟁을 펼칠 게 아니라 진정으로 국민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필요한 게 뭔지 제대로 알아야 한다. 최상의 복지는 일자리 창출이다. 정치권은 실현 가능성도 없거나 비생산적인 공약을 쏟아낼 게 아니라 실현 가능한 일자리 창출 방안을 놓고 다퉈야 한다.

정부와 기업도 양질의 일자리를 많이 만들어 내려는 노력을 더 적극적으로 기울여야 한다. 고용노동부는 일자리 창출을 위한 방안으로 휴일근로를 연장근로에 포함시키는 방안 등으로 근로시간 단축을 추진하고 있다. 이렇게 되면 최대 28만개의 일자리가 늘어날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기업은 비용 부담 증가를 이유로, 근로자들은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실질임금 감소를 이유로 반발하고 있어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정치권과 정부, 기업, 노조는 어려울수록 나누는 자세로 일자리 문제를 풀어야 한다. 내것만 지키려다가는 모든 것을 잃을 수 있다.

2012-02-06 3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