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줄잇는 ‘SD의혹’ 언제까지 지켜봐야 하나

[사설] 줄잇는 ‘SD의혹’ 언제까지 지켜봐야 하나

입력 2012-02-04 00:00
업데이트 2012-02-04 00: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새누리당 이상득 의원을 둘러싼 비리 의혹의 실체가 점차 구체성을 더해가고 있다. 이 의원의 여직원 계좌에서 발견된 7억원은 모두 이 의원 자신의 돈인 것으로 밝혀졌다. 18대 총선을 앞두고 이 의원이 김학인 한국방송예술진흥원(한예진) 이사장으로부터 공천헌금 2억원을 받았다는 진술도 검찰 조사과정에서 나왔다. 지금까지 드러난 의혹만으로도 이 의원은 이제 더 이상 무엇을 둘러대기 어려운 지경에 이르렀다. 이 의원은 문제의 7억원이 공직자 재산신고에서 누락돼 공직자윤리법을 위반한 것임을 인정하면서도, 대가성 로비자금이거나 불법 정치자금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아무 거리낌없는 돈이라면 왜 본인의 계좌에 넣어 놓지 않았는가. 차명계좌가 검은돈 세탁의 대명사임은 삼척동자라도 아는 일이다. 뭉칫돈을 여직원 계좌에 넣어 놓고 깨끗한 돈이라고 외친들 믿겠는가. 안방 장롱 속 돈이니 뭐니 하는 ‘해명’ 자체가 얼마나 궁색한 일인가.

2억원 공천헌금설도 실체가 가려져야 한다. 한예진 전 경리직원 최모씨는 검찰에서 “1만원권으로 2억원을 박스 두 개에 담아 주차장에 대기 중인 이 의원 쪽 승용차에 실어줬다.”고 진술했다고 한다. 이 의원 측은 사실무근이며 명예훼손이라고 강하게 부인하지만 돈의 전달 방법과 시점 등 진술내용이 구체적인 만큼 철저히 조사할 필요가 있다.

답은 자명하다. 검찰이 명예를 걸고 자금의 출처와 불법성 여부 등에 대해 직접 수사에 나서 국민 앞에 실체적 진실을 밝혀야 한다. 이 의원이 현직 대통령의 형이라는 이유로 머뭇거리거나, 허공에 대고 무딘 칼끝만 휘두른다면 검찰은 존재 의의 자체를 잃게 되고 말 것이다. 국민의 눈과 귀가 쏠린 사건일수록 정도(正道)가 해답이다. 좌고우면하지 말고 이 의원에 대한 소환조사와 계좌추적, 압수수색 등 본격적인 조사를 벌여야 한다. 6선의 정치원로로서 끊임없이 비리 의혹에 이름이 오르내리는 것은 이 의원 본인은 물론 지켜보는 국민으로서도 난감하고 답답한 일이다. 이 의원 스스로 검찰 수사에 당당히 임해 밝힐 것이 있으면 밝히고, 책임질 일이 있으면 책임지는 성숙한 자세를 보여주기 바란다.

2012-02-04 27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