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미군이 기지 내부와 그 주변에 고엽제를 비롯한 화학물질을 대량으로 묻었다는 증언이 이어지고 있다. 경북 칠곡에 있는 캠프 캐럴에서 1978년에 고엽제인 ‘에이전트 오렌지’를 담은 55갤런짜리 통 250개를 부대 안에 매립했다는 폭로가 지난주 처음으로 나왔다. 그러더니 한국에서 근무한 퇴역군인들의 증언이 잇달아 공개되면서 그 대상 지역은 경기도 부천과 비무장지대(DMZ) 일대로 확산됐다. 이런 분위기라면 주한미군 기지가 한때 존재했거나 지금도 남아 있는 전국 90여개 지역의 주민들은 ‘고엽제 공포’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될 것이다.
의문이 제기되자마자 미8군 사령부는 캠프 캐럴에 묻은 화학물질과 주변의 흙 40~60t을 1979~80년에 다른 지역으로 옮겨 처리했다고 인정했다. 따라서 부천에서 ‘상상 가능한 모든 화학물질’ 수백 갤런 분량을 파묻었다거나 미 2사단 사령부가 산하 부대에 보관하던 다이옥신을 모두 없애라는 명령을 내렸다는 다른 증언들 또한 사실일 개연성이 높아졌다. 그러므로 이 시점에서 가장 시급한 건 책임 문제를 따지는 게 아니다. 전국에 산재한 모든 전·현 미군기지와 인근 지역을 대상으로 환경오염 여부부터 조사해야 한다. 실태를 정확히 파악해야 다음 단계의 대책을 제대로 세울 수 있다는 건 지극히 당연한 수순이기 때문이다.
‘캠프 캐럴 폭로’가 나온 뒤로 한·미 양국 정부는 공동조사를 진행하기로 합의했다. 하지만 그 대상은 문제가 된 일부 기지에 국한될 전망이다. 고엽제 중독이 불러오는 치명적인 위험성과 그에 따른 국민적 우려를 고려한다면 부분 조사는 결과와 상관없이 한국민의 불신을 조장할 수 있다. 미국 정부는 이번에야말로 투명하고 신속하게 미군기지 오염도를 전수조사해야 한다. 그래서 양국 간에 불필요한 갈등 없이 이번 사태가 마무리되기를 기대한다.
의문이 제기되자마자 미8군 사령부는 캠프 캐럴에 묻은 화학물질과 주변의 흙 40~60t을 1979~80년에 다른 지역으로 옮겨 처리했다고 인정했다. 따라서 부천에서 ‘상상 가능한 모든 화학물질’ 수백 갤런 분량을 파묻었다거나 미 2사단 사령부가 산하 부대에 보관하던 다이옥신을 모두 없애라는 명령을 내렸다는 다른 증언들 또한 사실일 개연성이 높아졌다. 그러므로 이 시점에서 가장 시급한 건 책임 문제를 따지는 게 아니다. 전국에 산재한 모든 전·현 미군기지와 인근 지역을 대상으로 환경오염 여부부터 조사해야 한다. 실태를 정확히 파악해야 다음 단계의 대책을 제대로 세울 수 있다는 건 지극히 당연한 수순이기 때문이다.
‘캠프 캐럴 폭로’가 나온 뒤로 한·미 양국 정부는 공동조사를 진행하기로 합의했다. 하지만 그 대상은 문제가 된 일부 기지에 국한될 전망이다. 고엽제 중독이 불러오는 치명적인 위험성과 그에 따른 국민적 우려를 고려한다면 부분 조사는 결과와 상관없이 한국민의 불신을 조장할 수 있다. 미국 정부는 이번에야말로 투명하고 신속하게 미군기지 오염도를 전수조사해야 한다. 그래서 양국 간에 불필요한 갈등 없이 이번 사태가 마무리되기를 기대한다.
2011-05-26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