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총장 12시간 감금 서울대 노조 엄단하라

[사설] 총장 12시간 감금 서울대 노조 엄단하라

입력 2011-04-02 00:00
업데이트 2011-04-0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대 법인화를 반대하는 교직원과 학생들이 오연천 서울대 총장과 일부 보직교수를 12시간이나 감금하는 사태가 그제 발생했다. ‘서울대 법인화 반대공동대책위원회’ 소속 교직원 과 학생 300여명은 이날 총장실 복도앞을 점거하고 농성을 벌였다. 퇴근하려던 오 총장을 가로막아 안경이 벗겨지는 등 거친 몸싸움이 있었다고 한다. 국회에서 자주 본 구태(舊態)가 최고의 지성이 모였다는 서울대에서 벌어진 것이다. 참으로 부끄럽고 개탄스러운 일이다.

이들은 학내외 인사로 구성된 ‘국립대학 법인 서울대 설립준비위원회’에 노조 인사를 포함시킬 것 등을 요구했다고 한다. 학교 법인화 청사진을 함께 그리기는커녕 철밥통 깨지는 것을 막겠다고 폭력을 불사하는 것을 보니 실망 그 자체다. 서울대 직원들과 학생들이라면 거시적인 안목으로 학교와 나라 발전을 위해 고민하고 일해야 할 위치에 있는 것이 아닐까. 그런 이들이 기득권만을 지키려고 총장을 감금하는 비이성적 행동을 한 것은 집단 이기주의의 전형일 뿐이다. 이번 사태는 우리 사회의 고질적 병폐인 집단·지역 이기주의가 서울대에서까지 횡행하고 있음을 여실히 드러냈다는 점에서 더욱 충격적이다. 지성의 전당인 대학이, 더구나 우리나라 최고의 대학이라는 서울대마저 합리적인 토론의 장을 멀리하고 무책임한 농성과 폭력에 물들어 있다면 우리 사회에 과연 희망은 있는 것인가.

서울대 법인화는 정부의 간섭과 통제에서 벗어나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대학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다. 서울대는 법인화가 돼도 학교 땅과 건물 등 3조 1000억원 정도의 국공유 재산을 무상으로 넘겨 받는다. 법인화를 통한 수익사업도 하면서, 정부 재정도 계속 지원받는 셈이다. 그야말로 특혜다. 그런데도 자신들이 누릴 특혜에 대해서는 눈감고, 기존 공무원 신분이 바뀌고 등록금이 인상될 것만을 걱정하는 것이다. 더구나 폭력을 통해 자신들의 기득권을 지키려는 것이다. 이런 구태는 결코 용납돼서는 안 된다. 어렵사리 법인화 결실을 맺은 만큼 제대로 추진되어야 한다. 교육현장의 기본을 무너뜨린 관련자들은 법과 원칙에 따라 엄단해야 마땅하다.
2011-04-02 27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