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필원의 골목길 통신] 사회적 거리 2미터, 또 다른 의미

[한필원의 골목길 통신] 사회적 거리 2미터, 또 다른 의미

입력 2020-03-22 17:22
업데이트 2020-03-23 02: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한필원 한남대 건축학과 교수
한필원 한남대 건축학과 교수
코로나19 사태가 생각보다 길어지면서 방역 당국은 ‘사회적 거리 두기’를 하라고 권고하고 있다. 사람 사이의 거리를 기침할 때 침방울이 튀는 범위인 2미터를 유지하라는 것이다. 손 씻기와 함께 이것이 새로운 바이러스의 전파를 줄이는 데 가장 효과적인 예방책이라고 한다. 그런데 여기서 ‘사회적’이라는 말이 마음에 걸린다. ‘사회적 거리’ 두기를 실천하면 말 그대로 사람들 사이에 친밀감은 줄어들고 거리감이 커져 사회적 관계가 크게 위축되는 게 아닌가 하는 걱정이 든다.

사람들 사이의 거리 2미터는 사회적으로 어떤 의미를 갖는가. 그 정도를 벌리면 사람들 사이의 소통이 어려워지지는 않을까. 이에 답하는 데는 미국의 인류학자 에드워드 홀의 연구가 도움이 된다. 물론 자기 신체로 접근하는 것을 통제하려는 성향이 우리보다 강한 북미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임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그는 사람들이 대인관계에서 보통 사용하는 거리를 친밀한 거리, 개인적 거리, 사회적 거리, 공적인 거리 등 네 가지로 분류했다. 각각의 구체적인 치수는 46센티미터 이하, 30센티미터~1.2미터, 1.2~3.6미터, 3.6~7.5미터라고 한다. 이 가운데 사회적 거리는 사람들 사이에서 대부분의 공적인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거리를 말한다.

사회적 거리를 다시 가까운 부분, 곧 1.2~2.1미터 범위와 먼 부분, 곧 2.1~3.6미터 범위로 나눌 때 그것들의 의미는 서로 다르다. 전자는 같이 일하는 사람들이 서로 유지하는 거리이며 사회적 모임에서 흔히 관찰되는 거리다. 이 범위에서는 말과 표정이 명확하게 전달돼 의사소통이 매우 효과적으로 일어난다. 그래서 건축가들은 공공장소에서 좌석을 배열할 때 가능하면 사람들의 머리 사이 거리가 이 범위에 오도록 설계하려고 한다.

후자, 곧 사회적 거리의 먼 부분은 좀더 공식적인 관계, 그리고 낯선 사람들 사이에서 흔히 사용되는 거리다. 회사에서 직원이 사장에게 이야기할 때 흔히 이 거리를 유지한다. 이것을 바탕으로 건축가들은 개인 사무실을 설계할 때 방문자를 이 거리에서 응대하도록 치수를 정하는 경향이 있다.

그럼 상대방을 무시해도 결례가 되지 않으려면 어느 정도의 거리를 두어야 할까. 대체로 3미터 이상 거리가 있을 때 방문자를 못 본 척하고 자신의 일을 계속해도 무례하게 생각되지 않는다고 한다. 그 사람이 정면이 아니라 한쪽으로 비켜 서 있다면 더욱 그렇다.

홀은 이렇게 서로에 대해 개입이 일어나지 않는 거리를 공적인 거리라고 정의했다. 그 치수는 3.6~7.5미터인데, 사람들이 서로 이 정도 거리를 두면 사회적 관계 맺기가 어려워진다. 낯선 사람에게도 인사하는 북미 사람들도 이 거리에서는 아는 사람이 있어도 멈추거나 인사를 나누지 않고 지나치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공적 거리의 먼 부분, 곧 7미터 정도의 거리는 대중적으로 중요한 인물의 주위에 확보하는 경우가 많다.

홀의 연구에 따르면 2미터 정도 ‘사회적 거리’를 확보하는 것은 사회적 소통 혹은 관계 형성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러나 한국은 북미보다 사회적 공간의 밀도가 높아서 음식점 등 대부분의 사회적 공간에서 그 거리를 유지하고 사람들을 만나기는 어렵다. 4인용 테이블의 폭이 대개 60~90센티미터이니 일상생활에서 우리의 사회적 거리는 북미 사람들의 절반밖에 안 되는 셈이다. 그러니 최근 강조되는 ‘사회적 거리 두기’를 2미터로 유지하면 우리의 사회적 관계가 위축될 수밖에 없다. 하루빨리 이 감염병 사태가 진정돼 우리 나름의 사회적 거리를 되찾고 한동안 못다 한 사회적 소통을 마음껏 할 수 있기를 고대한다.
2020-03-23 30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