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옴부즈맨 칼럼] 개그콘서트에서 배울 점/김성회 CEO리더십 연구소장

[옴부즈맨 칼럼] 개그콘서트에서 배울 점/김성회 CEO리더십 연구소장

입력 2012-04-11 00:00
업데이트 2012-04-1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성회 CEO리더십 연구소장
김성회 CEO리더십 연구소장
KBS 2TV 개그콘서트가 시청률 20% 내외를 마크하며 일요일 예능부문에서 굳건한 1위를 지키고 있다. ‘입맛 까다로운’ 시청자들의 구미를 맞추는 개그콘서트의 장수 인기 비결은 무엇일까. 서수민 PD의 밥상론에서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서 PD는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개그 콘서트는 일주일에 받는 밥상이라 생각한다. 매주 기대가 되는 밥상을 만들려고 노력하고, 4인 가족을 기준으로 그 밥상을 받았을 때 기쁘게 먹고, 먹고 나서 탈이 나지 않는 그런 것이다.”라고 말했다. 모두가 좋아하는 평균적 구성이 아니라 각 세대가 좋아할 만한 메뉴를 고루 포진시켜 세대별로 각개격파한 것이 인기비결이란 이야기다.

4인용 가족을 위한 식단을 짤 때 장년의 아버지와 청소년기 자녀가 한 번에 좋아하는 반찬은 드물다. 이들이 한상에 모여 오순도순 정담을 나누며 맛있게 식사하려면 각 세대의 입맛에 맞는 반찬을 각각 올리는 게 비결이다. 아버지의 손이 가는 반찬, 자녀가 선호하는 반찬을 각각 올릴 때 ‘식단’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진다.

개그콘서트의 ‘4인 가족 기준 식단 짜기’는 서울신문의 지면 짜기에도 적용해 볼 수 있다. 총 지면의 차림표를 살펴보자. 1면부터 32면까지 두루 아버지, 즉 30, 40대의 중산층 지식인에 맞춘 평균적 면이지, 4인 식구를 기준으로 각 계층의 기호를 반영한 특화된 눈높이 지면은 찾기 어렵다. 그저 신문기사의 성격에 따른 종합, 사회, 국제면 등 주제에 따른 구성만 존재할 뿐이다. 신세대를 타깃으로 한 지면으로 꼽을 수 있는 것은 연예, 스포츠면이 고작이다.

필자에겐 중학생 딸이 있다. ‘신문이 유용한 실용독서의 첫 발걸음’임을 알기에 필자는 식탁에서 신문읽기와 토론을 시도하곤 한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걸림돌이 너무 많다. 알 듯하지만 정확히 설명은 하기 어려운 시사 신조어는 풀이가 안 돼 있기에 매번 검색하기 일쑤다. 토론거리를 발굴하는 것도 일이다. 배경지식을 함께 찾아 찬반의 근거를 정리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서울신문에서도 NIE(Newspaper In Education) 지면, 청소년 또는 신세대 면을 구성하는 것도 검토해 볼 만하다. 일반적 사실 보도뿐 아니라 배경지식, 사건의 발자취 등 개요, 그리고 찬성과 반대의 시각을 아울러 실어주는 등 ‘가족밥상’을 위한 배려를 해주면 좋을 것이다. 청소년, 젊은 층이 신문으로부터 멀어진다고 한다. 하지만, 이들 세대의 신문구독률이 떨어지는 것은 그들만의 책임은 아니다. 그들의 입맛에 맞게 가공해 제공하는 독자 서비스가 부족했던 ‘생산자’ 쪽에도 이유가 있다.

이외에 수준 높은 에세이의 지면 구성 비율을 높이는 것도 당부하고 싶다. ‘사건 뉴스’의 범람 속에서 필자에게 한 줄기 오아시스의 역할을 하는 것은 격조 높은 에세이들이다. 논설위원들의 주옥 같은 에세이 ‘길섶에서’는 짧은 내용 속에 깊은 울림과 농축된 지혜가 들어 있어 늘 신문을 펼치면 가장 먼저 찾게 된다. 잔잔한 일상의 의미를 반추하고 소중하게 되돌아보게끔 해주기 때문이다. 4월 9일 자 노약자석 신구세대 간 시각차 문제는 아이와 함께 자연스럽게 밥상머리 토론으로 이어졌고, 4월 6일 자 ‘숨어 있는 봄’을 읽고는 새롭게 봄(see)의 의미를 깨우치며, 문득 지인들에게 “봄에 보자”라고 안부 메일을 날리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요컨대 개그콘서트의 ‘4인 가족 밥상론’ 벤치마킹을 제안하면서 부탁하고 싶은 것은 두 가지다. 하나는 가족용 생각거리를 제공하는 지면 구성, 그리고 에세이 비중을 확대해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세상 사는 데 어디 필요한 것이 화려한 특종과 속보뿐이겠는가. 품격 있는 에세이들은 ‘(정상에) 올라가느라 보지 못한 꽃’을 독자들로 하여금 보게 해준다. 쉬엄쉬엄 길섶에 핀 들꽃을 다시금 돌아보게 해주는 여유와, 4인 가족이 모여 맛있게 밥상머리 토론할 수 있는 ‘지면’ 제공이 아쉽다.

2012-04-11 30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