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모와 흑역사

기모와 흑역사

입력 2023-01-18 15:44
업데이트 2023-01-18 18: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몇 해 전부터인가 ‘기모’라는 말이 눈과 귀에 박힌다. 겨울철에는 특히 극성을 부린다. 케이블TV를 켜면 ‘기모 바지’에서부터 ‘기모 트레이닝’, ‘기모 상하의’ 등 겨울에만 팔 수 있는 상품들 소개에 ‘기모’를 얹어 판매하는 채널이 많다. 그뿐인가. 인터넷과 SNS의 겨울 의류 코너에서도 온통 기모, 기모다.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을 인터넷에서 검색해 보면 ‘기모’의 세 번째 뜻에 기모(kimo·起毛)라고 돼 있고, ‘모직물이나 면직물의 표면을 긁어서 보풀이 일게 하는 일’이라는 설명이 붙어 있다. 기모란 단어 옆에 역삼각형 버튼이 있는데 그걸 클릭하면 그제서야 ‘일본어’임을 알려준다.



아마도 기모가 일본말인 줄 모르고 몇 년을 써 왔을 것이다. 대체 불가능한 외래어가 아니라면 우리말로 바꿔 쓰는 게 좋다. 보풀 바지라 해도 충분히 뜻은 통한다. 기모처럼 아무렇지 않게 쓰는 ‘흑역사’(黑歷史) 또한 일본어인 점도 알았으면 좋겠다.

2023-01-16 9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