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여기] 힙합 디스전과 정치의 차이/송수연 정치부 기자

[지금&여기] 힙합 디스전과 정치의 차이/송수연 정치부 기자

입력 2013-08-31 00:00
업데이트 2013-08-3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송수연 정치부 기자
송수연 정치부 기자
최근 인터넷을 가장 뜨겁게 달군 이슈 중 하나는 힙합계의 ‘디스(diss, 비방)전’이었다. 랩을 통해 다른 뮤지션을 깎아내리거나 비방하고 다시 상대방이 이를 맞받아치는 식이다. 힙합계의 실력파로 불리는 스윙스, 어글리덕, 테이크원, 이센스, 다이나믹 듀오 등이 가세하면서 판이 커졌다. 팬들은 열광했다. 상대방을 ‘암덩어리’, ‘사기꾼’이라고 욕하는 것은 신사다. 입에 담지 못할 온갖 욕설이 오갔고 결국 폭로전으로 변질되면서 일단락됐다. 미국에서 힙합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는 ‘디스전’이 국내에서는 앞으로 어떤 평가를 받을지 지켜볼 일이지만, 일단 대중의 관심을 끄는 데는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비슷한 시기 디스전은 정치권에서도 펼쳐졌다. 정치권의 막말이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지만 국가정보원 국정조사 청문회라는 판이 깔리면서 여야 의원들은 마치 래퍼를 자처한 듯 상대방에 대한 비난과 비방을 서슴지 않았다. ‘막말 대마왕’, ‘돼지’, ‘새빨간 거짓말쟁이’ 등 원색적인 표현이 청문회장을 어지럽혔다.

그런데 그 파장은 힙합 디스전과는 사뭇 달랐다. 힙합 디스전에서 팬들은 너도나도 디스곡을 다운로드 받았지만 국민들은 욕설장이 돼 버린 청문회를 지켜보다 결국 고개를 돌려버렸다.

힙합 뮤지션들과 정치인들이 디스전을 펼친 의도는 매우 달라 보인다. 뮤지션들은 대중의 관심을 끌고 싶어 디스전을 펼쳤다. 물론 그 이면에는 상업적인 목적이 있었을 수도 있다. 반면 정치인들의 막말은 오히려 ‘대중의 무관심’을 위해서가 아니었나 싶다. 국민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 청문회가 열렸지만 결과는 무관심의 확산이 돼버렸다.

정치권의 막말은 잠깐 동안의 화제는 될 수 있겠지만 결국 정치에 대한 무관심과 불신을 조장한다. 그래서 득을 보는 것은 누굴까. 정치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줄어들면 줄어들수록 기득권을 가진 세력들은 자신들이 갖고 있는 것을 유지하기가 더 쉬워지는 것은 아닐까. 그런 점에서 정치인들의 디스전은 매우 불순하다.

이번 국정조사는 여야의 실제 속내가 무엇이냐는 것을 놓고 시작부터 의혹이 제기됐다. 과연 여야 모두 국정조사를 이끌어갈 의지가 있느냐는 것이었다. 막말은 국민들이 국정조사를 외면하는 데 한몫했다. ‘국정조사 디스전’은 그래서 더욱 불순했다.

songsy@seoul.co.kr

2013-08-31 26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