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여기] 휴가 가세요?/이민영 경제부 기자

[지금&여기] 휴가 가세요?/이민영 경제부 기자

입력 2013-08-03 00:00
업데이트 2013-08-0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민영 경제부 기자
이민영 경제부 기자
휴가다. 1년에 딱 한 번, 눈치 덜 보고 쉴 수 있는 건 여름휴가뿐이다. 숙소와 교통편 예약은 끝냈고, 여행 다녀오고 남은 며칠 동안 읽을 책도 주문해 뒀다. 먼지가 수북한 책장을 정리하고 냉장고도 청소할 계획이다.

휴가 준비를 마치고 주변을 둘러보니 휴가 못 가는, 혹은 안 가는 사람이 너무 많다. 정부 부처 공무원 A(37)씨는 지난주 예정돼 있던 휴가를 가지 못했다. 부서에서 준비해야 하는 회의가 갑자기 잡혔단다. 그의 상사는 휴가를 미루라고 지시했다. A씨는 그 말이 ‘연기’가 아닌 ‘취소’라는 것을 여러 번 경험해 봐서 알고 있다. 마트 점원으로 일하는 B(42·여)씨도 휴가를 가지 못했다. 사장은 B씨에게 “일손이 부족하니 여름휴가는 건너뛰고 추석 때 쉬게 해주겠다”고 말했다.

금융권 최고경영자(CEO)들도 사정은 다르지 않다. 이순우 우리금융 회장, 김정태 하나금융 회장, 윤용로 외환은행장 등은 휴가를 포기하거나 반납했다. 정진석 동양증권 사장, 김원규 우리투자증권 사장, 윤경은 현대증권 사장 등도 업무가 바쁘다는 이유로 휴가를 가지 않는다. 고위 관료들도 마찬가지다. 현오석 경제부총리는 휴가 대신 현장 점검에 나섰고, 이동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휴가를 보류했다.

외국은 조금 다르다.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와 닉 클레그 부총리는 2주 동안 휴가를 떠났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도 열흘 정도 쉴 예정이다. 독일, 프랑스 등 유럽 사람들은 여름휴가를 한 달씩 가는 것으로 유명하다.

한국 사람들은 여름 휴가도 못 갈 정도로 일이 많고 바쁜 걸까. 그보다는 휴가를 가지 않아야만 일을 열심히 혹은 잘하는 것 같은 ‘일벌레’ 의식이 뿌리 깊이 박혀 있는 것이 아닐까. 아직 여름휴가 2, 3일 쓰는 것도 힘든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너무 많다. 연차 휴가를 절반도 쓰지 못하는 회사원들이 널렸다. 예전보다 많이 나아졌다고 하더라도 연봉과 직책에 상관없이 휴가를 갈 수 없게 만드는 사회 분위기가 여전하기 때문이다.

여름에 접어들면서부터 지인들의 휴가 계획을 물어보곤 했다. 사장이든 말단 직원이든 휴가를 원하는 마음은 모두 같아 보였다. 속초, 부산, 제주에서 태국 방콕과 스페인 바르셀로나까지 여행을 계획한 사람들 모두 휴가를 즐길 수 있으면 좋겠다. 사실, 집에서 선풍기 틀고 수박을 먹어도 휴가는 좋다.

min@seoul.co.kr

2013-08-03 22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