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싸이 현상’과 뉴욕 한류/이우성 뉴욕한국문화원장

[기고] ‘싸이 현상’과 뉴욕 한류/이우성 뉴욕한국문화원장

입력 2012-09-22 00:00
업데이트 2012-09-22 00: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뉴욕은 전 세계 문화가 들어와 실험되는 실험장이라고 할 수 있다. 짧은 기간에 여러 문화 콘텐츠가 경합을 벌이고 다양한 청중들의 반응을 통해 가능성을 인정받거나 단발적인 문화 이벤트로 사라지기도 한다. 세계 어느 도시보다 튼튼한 문화 인프라와 예술에 대한 다양한 열정을 가진 청중들이 뉴욕 문화를 뒷받침한다.

이우성 뉴욕한국문화원장
이우성 뉴욕한국문화원장
지난 9월 14일 이러한 열정적인 뉴욕 청중들이 한국 가수 싸이의 ‘강남스타일’에 열광하는 생생한 장면이 NBC의 아침 간판 프로그램 ‘투데이쇼’ 전파를 타며 미 전역을 흔들었다. 유튜브 조회수 2억건 돌파, 팝 시장을 대표하는 미국 음악차트 아이튠스 1위 등 싸이는 K팝 글로벌 진출 역사에 새로운 길을 만들어 가고 있다.

처음으로 싸이의 ‘강남스타일’의 잠재적 가능성을 확인한 것은 지난달 31일 뉴욕한국문화원이 뉴욕대 공연장에서 개최한 ‘뉴욕 K팝 콘테스트’에서였다. 행사 당일 결선 참가자들은 각자 준비한 노래·춤과 더불어 오프닝 무대로 준비한 ‘강남스타일’의 말춤을 짧은 시간에 멋지게 소화해 냈다. 그날 관객들은 미국 K팝 마니아들의 페이스북 친구와 그 가족들이 대부분이었지만, 다수는 ‘강남스타일’을 처음 접한 것처럼 보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싸이의 노래와 춤은 참가자와 관객을 순식간에 하나로 만들고 K팝 축제의 열기를 한껏 고조시켰다. ‘강남스타일’의 확장성을 보면서 참여와 공유형 문화 콘텐츠의 전형적인 현상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했다.

이러한 현상은 지난 9월 7일 뉴욕 패션위크기간에 개최된 한국의 대표적 글로벌 패션프로젝트인 콘셉트코리아 현장에서도 느낄 수 있었다. 행사 마지막 곡으로 싸이의 ‘강남스타일’이 울려 퍼졌을 때였다. 그곳에 모인 뉴욕 패션 트렌드 메이커들은 즐길 준비가 되어 있다는 신나는 표정을 짓거나 일부는 말춤 동작을 따라했다.

급기야 미국 NBC TV의 아침 프로그램인 ‘투데이쇼’에 싸이가 출연했다. 오전 8시 30분에 시작되는 록펠러광장 야외 생방송 공연을 보기 위해 오전 3시부터 몰린 1000여명이 인근 도로까지 가득 메웠다. 한국어를 이해하지 못하는 뉴요커들이 노래를 따라 외치고 말춤을 함께 추는 열정적인 광경을 보면서 다시 한 번 뉴욕의 K팝이 한 단계 더 발전하고 창조되고 있다는 확신을 갖게 되었다.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확산되기 시작한 뉴욕의 K팝 열기는 싸이 현상을 계기로 K팝 마니아층뿐 아니라 보다 넓은 수요층을 만들어 나가게 됐다. 뉴욕의 ‘강남스타일’ 열기는 그 자체가 뉴욕 한류의 생생한 장면이다. 일반 대중인 수요자가 직접 참여하고 공유하는 새로운 문화 콘텐츠의 전형이자 K팝의 진화이다. 역동성과 쌍방향 참여가 가능한 콘텐츠가 얼마나 큰 문화적 파급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지 새삼 느꼈다.

그동안 뉴욕에서의 한류는 태권도가 중요한 역할을 해 왔다고 생각한다. 현재 100여개 미국 학교에서 태권도를 체육과목으로 채택하고 있다. 태권도의 현지화와 수요자 중심의 콘텐츠가 한류 내지 한국 태권도의 미국 글로벌화에 큰 역할을 했듯, K팝도 장기적으로는 수요자의 글로벌 요구와 한국문화 특유의 창조적 발상이 어우러지면서 뉴욕의 대표적인 문화현상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뉴욕을 뜨겁게 달구고 있는 K팝의 열기는 끊임없는 창조와 글로벌 트렌드에 부응할 수 있는 변화의 에너지가 분출할 때만 지속 가능할 것이다.

2012-09-22 2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