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이웃 아저씨/주병철 논설위원

[씨줄날줄] 이웃 아저씨/주병철 논설위원

입력 2012-07-24 00:00
업데이트 2012-07-2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리의 전통 사회는 촌락을 단위로 하는 마을이었다. 생산과 생활 유지를 위한 방편으로 강한 결속력을 지닌 자연공동체였고, 그 고리가 이웃이었다. 사람들이 모여 사는 곳을 따라 길이 생겼기에 버스길은 언제나 꼬불꼬불했다. 도시화가 시골까지 뻗어 난 지금도 ‘이웃’이란 말은 여전히 살가운 우리네 속살 같다. 어려울 때 먼 친척보다 가까운 이웃이 낫다는 명심보감(明心寶鑑)의 원친불여근린(遠親不如近隣)이란 것도 이를 두고 한 말일 게다.

이웃을 예찬한 시도 참 많다. “비가 내리는 것을 알고 있을까 내 이웃은/젖은 빨래가 다시 젖지 않도록/마른 곳으로 옮겨 놓았는지/차가운 빗방울이 얼굴을 때릴 때마다/내 이웃의 따뜻한 손길을 그리워한다/…”(강영환의 ‘이웃 사랑’) “애당초부터 약속도 없었다/그 어떤 혈연이나 지연 관계도 아니다/서로 생긴 것과 성도 다른 몸으로/희로애락을 같이 하면서/더불어 살아가는 삶의 터전이다…”(전병철의 ‘이웃 사촌’) “물새는 신발에/유행 지나고 떨어진 옷을 기워 계속 입고 다녀도/야~너는 참 검소해/이렇게 곱게 봐준/매일 보는 주위분들…”(김한기의 ‘고마운 이웃’)

R M 릴케는 ‘말테의 수기’(手記)에서 이웃을 이렇게 표현했다. “눈에 비치는 것만으로는 전혀 독도 약도 되지 않는 그런 것이 있다. 좀 보기만 하여도 곧 잊어버리게 된다. 그러나 그것이 눈에는 보이지 않고 청각으로 끌려오게 되면 갑자기 귓속에서 크게 성장을 하여 이를테면 고치를 뚫고 나온 번데기처럼 귀 안에서 멋대로 돌아다니다가 이윽고는 그것이 개의 콧구멍으로 침입하는 폐렴균과 같이 뇌수로까지 들어가 번식하는 그런 극단적인 경우도 있다. 이웃 사람이라는 것이 확실히 그와 같은 일례다.” “사람들은 자기 이웃에게 속지 않으려고 조심한다. 그러나 어느 날 자기 자신이 이웃을 속이지 않으려고 조심하기 시작한다. 그때부터 모든 것이 잘돼 나간다.”(R W 에머슨의 ‘인생의 방법’ 중에서)

이웃이라고 마냥 좋기만 한 걸까. 이웃의 개소리 때문에, 귀에 거슬리는 소음 때문에, 위층에서 어린애의 쿵쿵대는 소리 때문에 눈살을 찌푸리는 게 또 이웃이다. 근데 이웃으로서는 할 짓이 못 되는 일이 벌어졌다. 얼마 전 경남 통영에서 실종된 초등학교 4학년 여학생이 성폭력 전과를 가진 이웃 아저씨한테 살해당했다는 것이다. 이를 두고 성범죄자 신상공개 범위를 확대하자, 재범자를 격리하자는 등의 얘기가 나온다. 슬프고 참담한 일이다. 이웃사촌이란 말을 쓰지 않을 수도 없고….

주병철 논설위원 bcjoo@seoul.co.kr

2012-07-24 3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