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여기] ‘박지성’이라는 헌신/강동삼 체육부 차장급

[지금&여기] ‘박지성’이라는 헌신/강동삼 체육부 차장급

입력 2012-07-21 00:00
업데이트 2012-07-21 01: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럽축구에 ‘물장수’(Water Carrier)란 은어가 있다. 스타를 빛나게 만드는 헌신적인 선수라고 옮길 수 있겠다.

이미지 확대
강동삼 체육부 차장급
강동삼 체육부 차장급
지난 10일 박지성이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맨유)를 떠나 퀸스파크레인저스(QPR)에 입단한다는 소식을 처음 전하면서 머리에 퍼뜩 떠오른 단어였다. 국내에서의 파장은 예상했던 대로였다. “은퇴도 얼마 안 남았는데 맨유맨으로 남지.”, “무슨 소리야, 주전에서 밀려났는데 진작 떠났어야 했어.” 등의 의견이 분분했다.

사실, 벌집을 쑤셔놓은 듯 시끄러울 만했다. 유럽 최고의 클럽에서 뛰며 유럽축구연맹(UEFA) 챔피언스리그와 프리미어리그, 국제축구연맹(FIFA) 클럽월드컵 등의 정상에 서서 아시아 최고의 선수란 족적을 남긴 박지성이 아니던가. 더욱이 평소에도 “맨유에서 은퇴하고 싶다.”고 입버릇처럼 말하지 않았던가. 그러나 그는 맨유 멤버라는 ‘특권’을 버리고 새로운 도전을 택했다. ‘더 큰 나를 위해 나를 버리다’(2010년)란 자신의 책 제목처럼 박지성은 서른하나 늦은 나이에 ‘더 큰 나를 위해’ 모험을 감행했다. QPR의 매력적인 비전에 넘어갔다고 하지만 어쩌면 선수 인생의 후반 20분을 뛰고 있는 그가 1분의 희열을 조금이라도 더 느끼기 위한 선택이었을지 모른다.

호날두, 루니 등 몸값이 훨씬 더 나가는 스타들의 틈바구니에서 살아남기 위해 그가 할 수 있었던 건 뛰고, 뛰고, 또 뛰는 것밖에 없었다. 동료들에게 쉴 시간을 배려하고 빈 공간을 찾아다니며 공·수의 연결고리를 만드는 역할만 무려 8년. 이탈리아 국가대표 젠나로 가투소는 “헌신이라는 말의 진짜 의미를 이해하고 있는 몇 안 되는 선수”라고 칭송하기도 했다.

어쩌면 맨유가 떨궈 내거나 잃은 건 박지성이 아니라 그라운드 안팎을 꽉 채운 그의 ‘헌신’(獻身)일지 모른다. QPR은 아시아의 빅스타를 영입한 게 아니라 그의 ‘헌신’을 영입했다. 간신히 프리미어리그에 살아남은 QPR은 지금 박지성 같은 헌신적인 선수를 목말라하고 있다. 승리란 게 뒤집어 보면 헌신의 결과물이기 때문이다. 박지성은 다시 얼마나 QPR에서 뛰고 또 뛸까. 파란 줄무늬 유니폼의 새 시즌이 기다려지는 이유다. 우리 모두가 그의 ‘1분 더’를 배웠으면 하는 바람이다.

kangtong@seoul.co.kr

2012-07-21 26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