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시대] 중소기업 육성은 어떻게/박상규 강원대 경영학과 교수

[지방시대] 중소기업 육성은 어떻게/박상규 강원대 경영학과 교수

입력 2012-07-17 00:00
업데이트 2012-07-17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리나라의 중소기업 육성정책은 세계적 수준이다. 그런데 왜 히든 챔피언이 많지 않을까. 그 원인은 어디에 있을까. 젊은이들이 기피하는 중소기업은 과연 밝은 미래가 있을까.

이미지 확대
박상규 강원대 경영학과 교수
박상규 강원대 경영학과 교수
중소기업은 고용창출의 엔진이고 기술혁신의 원동력이다. 중소기업이 중견기업으로, 다시 대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고비마다 닥칠 난관을 뚫는 전략이 필요하다. 그리고 지속적으로 시장을 재정의(再定義)하고, 새로운 시장에 적합한 조직의 재구축도 이루어져야 한다. 난관을 뛰어넘고 전과 다른 규모의 시장에 적합한 비즈니스 모델이 창출되어야 한다. 중소기업이 경영적, 기술적, 제도적 난관을 극복하고 대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건전한 산업생태계를 육성하는 것이 정부의 주요 과제다. 중소기업들이 의존적 성장에서 탈피하여 대기업으로 자립 성장할 수 있는 생태계가 중요하다. 기업들은 이를 위한 학습조직을 구성하여 혁신적인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기술지향적 경영은 한계가 있다. 마케팅지향적 경영전략으로 변신해야 한다. 중소기업들은 ‘만들 수 있는 것을 만들어 파는 기술중심의 R&D사고’에서 ‘팔릴 수 있는 것을 만들어 파는 마케팅중심적 사고의 전환’으로 사업을 재정의해야 한다. R&D 기획단계에서부터 고객의 요구사항을 청취하고 반영하는 연계체제의 구축이 필요하다. 새로운 기술은 쉽게 받아들이지만 경영철학을 바꾸는 것은 파산 위기에 몰리지 않는 한 어렵다고 루멜트 교수(UCLA대)는 말했다. 창업시절부터 기술 개발에 몰입된 중소기업 최고경영자(CEO)의 마인드를 쉽게 바꿀 수는 없다. 하지만 현실을 직시하고 적응해야 한다.

중소기업은 사람 중심의 조직문화다. 인원이 한정된 중소기업은 모든 직원이 멀티 플레이어가 되어야 한다. 기업 내 업무의 이양이 자유로워 전 직원들이 주인의식을 갖고 스스로 CEO 마인드로 임해야 한다. 일본 전자부품 중소업체인 미라이공업은 70세까지 종신고용, 성과급제도 폐지 등을 실시해 직원들의 스트레스를 없애면서 해마다 큰 이윤 창출을 이끌어 내고 있다. 이처럼 안정된 직장에서 주인의식이 함양되고, 주인의식으로 무장된 전 직원은 기업 성장에 필요한 아이디어를 창출↔공유↔학습↔실천하는 선순환 과정으로 이익창출의 기반을 구축해야 한다.

문제는 젊은이들의 도전정신과 기업가정신의 결여다. 도전을 통한 산업발전에 기여하는 직장보다는 쉽게 생활할 수 있는 일터를 선호하는 나약한 의지의 젊은이를 양산하는 사회적 의식은 개선되어야 한다. 기업가정신은 초·중·고 학생 때부터 높여줘야 한다. 창업의 성공사례인 빌 게이츠와 같은 롤 모델을 어릴 때부터 교육시켜 창업의 꿈과 세계적인 기업인의 꿈을 키우는 것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창업 의지를 저지하는 것은 창업 실패의 결과다. 창업실패자를 신용불량자로 만들지 말고 사회적 자본으로 조성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실패 사례는 성공을 위한 중요한 자산으로 만들어, 재도전을 통해 창업 성공을 이룩해야 한다.

세계시장에서 성공한 K팝 문화마케팅전략을 중소기업에 적용하면 어떨까. 다양한 창업오디션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승자에게 맞춤형 지원을 통해 스타기업을 양성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최선을 다한 실패자의 결과는 정부가 사회자본화해야 한다.

2012-07-17 30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