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눈] 송파署 흉기 난동사건 그후…/백민경 사회부 기자

[오늘의 눈] 송파署 흉기 난동사건 그후…/백민경 사회부 기자

입력 2012-07-12 00:00
업데이트 2012-07-12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백민경 경제부 기자
백민경 경제부 기자
밤 10시가 넘어 전화가 걸려 왔다. “저, 김종구입니다.” 잠깐 멈칫했다. 그리고 담담한 목소리를 기억해냈다. 4년 전 ‘송파서 흉기 난동사건’으로 불리며 검찰과 경찰 갈등까지 낳았던 서울 송파경찰서 신천파출소 김종구(40) 경사였다.

흉기를 휘두른 피의자를 체포하면서 목격자 진술을 조작, 허위 조서를 작성한 혐의로 기소된 김 경사는 2010년 무죄 판결을 받았다. 이후 사건을 재추적했다. 당시 검찰 수사관이 피의자와 함께 술을 마셨던 정황을 파악, 경찰에 고소장을 냈다.<서울신문 2011년 9월 19일자 8면>

재수사에 나섰던 서울동부지검은 피의자가 2009년 사건을 담당한 검찰 수사관에게 “자신을 구속했던 경찰을 처벌해 달라.”며 유흥주점에서 접대한 사실을 밝혀냈다. 결국 피의자와 검찰 수사관은 지난 4일 기소됐다. 김 경사의 지난한 싸움의 끝이다.

김 경사는 자신을 구렁텅이에 몰아넣었던 당사자들이 기소된 사실을 전해듣고 지난해 9월 오랜 추적 과정과 법정 투쟁, 검찰 수사관 연루에 대한 고소사실 등을 밝혀준 서울신문에 감사전화와 함께 이메일을 보내왔다. “무소불위 검찰 권력 앞에 쓰러져가는 경찰의 모습이 싫었다. 일부 언론에도 억울함을 호소했지만 검찰 관계자가 포함된 탓인지 고민하는 모습을 보며 많은 생각을 했다. 기사가 실린 게 너무 고마워 이 나이에 눈물이 다 났다. 언론이 한 사람의 인생에 얼마나 큰 힘이 됐는지 모를 것이다.” 김 경사의 말이다.

사회부에 있다 보면 고발·비판기사를 주로 다루는 탓에 항의, 때로는 협박성 전화도 많이 받곤 한다. “얼마나 도움이 됐는지 모른다.”는 김 경사의 말은 오히려 격려와 힘으로 다가왔다. 누군가의 삶에 힘이 될 수 있다는 것, 기자를 움직이게 하는 동력이다. 언론의 존재 이유이기도 하다.

white@seoul.co.kr

2012-07-12 10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