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시대] 우리 상품에 시장이 존재하는 이유/장수영 코트라 뉴질랜드 오클랜드 무역관장

[글로벌 시대] 우리 상품에 시장이 존재하는 이유/장수영 코트라 뉴질랜드 오클랜드 무역관장

입력 2012-07-02 00:00
업데이트 2012-07-02 00: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외국에 가면 모두 애국자가 된다는 말이 있다. 나라를 떠나봐야 정작 그 소중함을 깨닫게 되기에 하는 말일 것이다. 그런데 애국심이 생겼다고 해서 고국에 대해 더 너그러워지는 건 결코 아니다. 해외에서는 외국과의 비교가 자연스럽고 쉬워지면서 고국에 대해 더 비판적인 태도를 취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
장수영 코트라 뉴질랜드 오클랜드 무역관장
장수영 코트라 뉴질랜드 오클랜드 무역관장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그랬다. 스스로의 단점 찾기에 골몰한 나머지 두 사람만 모여도 우리가 안 되는 이유들을 경쟁적으로 열거하던 모습들을 여기저기서 봤다. 스스로의 흠을 자꾸만 들춰내고자 했던 이런 자책(自責) 모드가 발전에 장애가 되기도 했겠지만 이것들이 개선의 시발점이 되어 오히려 발전의 촉매제로 작용했을 가능성도 크다고 생각한다.

그래서인지는 모르지만 언제부터인가 단점보다는 장점을 말하는 사람이 많아졌다.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자꾸만 한국을 모범사례로 홍보하고 다니는 것은 좀 특별한 일로 치더라도 스스로를 향한 우리의 태도가 매우 긍정적으로 바뀐 것은 분명해 보인다. 해외에서 근무하면서 교민들과 한국에서 온 출장자들을 수시로 만나 이런 변화들을 피부로 느끼고 있다. 그렇다면 회자되는 우리의 장점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우리나라가 가장 많은 점수를 따고 있는 부분은 생활의 편리성 측면이다. “세상 어디를 다녀 봐도 한국만큼 살기 편한 곳이 없다.”라는 말을 가장 많이 듣는다. 한국에 잠시 머문 적이 있는, 뉴질랜드에서 만난 한 영국인이 “편리하고 역동적인 한국에서 살고 싶다.”며 또다시 방한하는 걸 봤다. 많은 인구, 좁은 공간, 바쁜 생활 등 한국의 특수성이 어우러져 각종 인프라와 시스템이 더욱 편리하게 발달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이유야 어떻든 한국이 세상에서 가장 살기 편한 곳 중 한 곳이 된 것은 이제 많은 사람이 공감하는 사실이다. 다만, 이런 이야기에 ‘돈만 있다면’이라는 꼬리표가 달려 있다는 사실이 우리 모두에게 쉽지 않은 숙제를 던져주고 있지만 말이다.

그 다음 장점으로는 우리의 서비스를 꼽고 싶다. 한국 사회에 익숙해 있다가 갑자기 외국에서 살게 된 사람들 대부분이 답답해하고 불편해하는 것 중의 하나가 외국 사회의 서비스가 한국과 비교할 때 느리고, 정확하지도 않고, 그렇다고 더 친절하지도 않다는 점이다. 선·후진국을 막론하고 공공기관, 병원, 은행, 기업 등을 가보면 서비스의 질과 효율성에서 한국만 한 경쟁력을 가진 곳을 찾기란 매우 어렵다. 이제 우리는 세상에서 최고의 서비스를 신속 정확하게, 그리고 아주 기분 좋게 제공받는 사회에 살고 있다고 당당하게 말해도 좋을 것이다.

또 하나 빼놓을 수 없는 장점은 우수한 인재들이다. “한국 젊은이만 한 인재가 세상에 없다.”는 말은 해외에서 외국인 직원들을 직접 고용해 본 해외진출 기업의 지사장들이나 교민업체 사장들이 공공연하게 하는 말이다. 일을 맡기면 스스로 문제점을 찾아 해결하려 하고, 결과에 대해서는 끝까지 책임지려는 자세는 한국에서 교육받고 자란 대부분 젊은이들의 공통점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까다로운 비자 문제를 해결해 주면서까지 한국에서 젊은이들을 데려다 쓰려는 교포기업들이 많다. 요즘 우리 기업들이 세계 시장에서 높은 경쟁력을 보유한 가장 결정적인 요인도 바로 우리가 확보하고 있는 대체 불가의 한국형 인재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이런 장점들 때문에 자랑할 일도 참 많이 생겼다. 원조를 받던 최빈국이 최초로 원조 제공 국가가 된 일, 가장 모범적인 성장 모델국가이자 위기극복의 모델로 부각되는 일, 세계인들을 열광시키는 K팝, 드라마는 물론 세계적인 운동선수·기업·상품들을 보유하게 된 일 등 한둘이 아니다. 수출현장도 예외가 아니다. 코트라에서 오랫동안 우리 중소기업 상품의 해외시장 개척을 지원하면서 나름대로 터득한 것이 하나 있다. ‘우리 상품에는 반드시 시장이 존재한다.’는 믿음이 그것이다. 세상에 대고 자랑스럽게 내세울 수 있는 우리의 장점들이 우리가 만든 상품에 그대로 체화(體化)된 때문일 것이다.

2012-07-02 30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