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바람/임태순 논설위원

[씨줄날줄] 바람/임태순 논설위원

입력 2012-04-11 00:00
업데이트 2012-04-11 00: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바람만큼 인류 문명이나 삶에 큰 영향을 끼친 것도 없다. 삼국유사에 보면 환웅이 인간을 다스리려 하늘에서 내려올 때 우사(雨師), 운사(雲師) 등 비와 구름을 가져오면서 가장 중요하게 여긴 것은 바람인 풍백(風伯)이었다. 비, 구름보다도 바람이 미치는 영향이 컸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공기 순환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이다. 따뜻한 공기가 위로 올라가면 찬 공기가 내려와 빈 공간을 메워주게 된다. 바람은 바다와 육지, 고도 등 지표면의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것은 물론 지구 회전 에너지의 영향도 받는다. 바람은 위도에 따라 규칙적인 흐름을 보이는데, 적도 위아래의 아열대 지역에서 적도를 향해 서서히 부는 바람이 무역풍이다. 이 북동무역풍을 이용해 아메리카 대륙에 닿은 사람이 콜럼버스다. 15~17세기 대항해의 시대에 유럽 항해가들이 무역풍으로 지구의 지평을 넓혔으니 무역풍(貿易風)이란 이름이 붙여진 것도 당연하다. 반면 적도 북반구와 남반구 각각 위도 30도와 60도 사이에서 서쪽에서 동쪽으로 부는 바람이 편서풍이다. 편서풍은 따뜻하고 온난한 북대서양 해류를 유럽대륙으로 몰고 와 유럽지역은 위도가 높은데도 겨울철에 우리나라에 비해 덜 춥다. 삼국지에서 조조에게 적벽대전의 패배를 안긴 것도 바람이었다. 강하게 불어오는 남동풍에 조조의 배는 싸움 한번 변변히 해보지 못하고 불길에 휩싸였다.

바람은 시인들의 인문학적 상상력, 감수성을 자극한다. 영국의 셀리가 ‘겨울이 오면 봄이 멀지 않다.’는 ‘서풍부’(西風賦)의 시상을 떠올린 곳도 이탈리아 피렌체의 숲에서 불어오는 서풍이었다. 서정주도 ‘자화상’에서 ‘나를 키운 건 팔 할이 바람’이라고 했다. 윤동주가 ‘서시’에서 부끄러운 과거를 통절히 반성하면서 괴로워한 것도 ‘잎새에 이는 바람’이었다. 바람은 이처럼 희망에서 시련과 역경이 되기도 하고, 고백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전국 곳곳에 많은 피해를 안긴 사상 유례 없는 봄 강풍이 서서히 물러가고 있다. 4월이면 약해져야 할 시베리아 고기압세력이 늦게까지 사그라지지 않으면서 이상 저온 현상까지 몰고와 희망과 생명의 봄을 사납게 만든 것이다. 농작물이 해를 입은 것은 물론 강풍으로 전력 공급이 끊겨 지하철이 멈추는 사고가 나기도 했다. 오늘은 향후 4년을 책임질 국회의원을 뽑는 날이다. 민심은 선거 때마다 요동쳐 변화를 가져왔다. 이번 선거에서도 민심은 바람을 탈 것이다. 유권자들에게 무슨 바람이 불어 어떤 정치 지형도를 만들어낼지 궁금하다.

임태순 논설위원 stslim@seoul.co.kr

2012-04-11 3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