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환율과 국민소득/곽태헌 논설위원

[씨줄날줄] 환율과 국민소득/곽태헌 논설위원

입력 2012-04-02 00:00
업데이트 2012-04-0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요즘처럼 사실상 국경이 없는 시대에는 경제 전반에 환율만큼 중요한 것도 없다. 수출 비중이 높은 국내 기업들이 원화가치를 낮춰 줄 것을 정부에 요청하는 것은 원화가치가 떨어지면 달러로 표시되는 수출가격을 낮출 수 있어 가격경쟁력이 생기기 때문이다. 보통 자국의 화폐가치가 떨어지면 수출경쟁력(가격경쟁력)은 생기지만 수입물가는 오르는 탓에 특히 서민들의 부담은 심해질 수 있다. 환율은 수출, 물가는 물론 소득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국가별 소득은 미국 달러화로 환산돼 발표되기 때문에 달러와 비교한 자국 화폐 가치는 중요한 변수가 된다.

1995년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총생산(GNP)은 1만 76달러로 전년보다 18.4%나 껑충 뛰었다. 경제성장률이 국내총생산(GDP) 기준으로 9.0%로 높았던 게 ‘1만 달러’ 시대를 연 주요인이지만, 환율을 빼놓을 수는 없다. 그해 달러와 비교한 원화가치가 전년보다 4.2% 뛰면서 원화로 계산한 명목 GDP를 달러로 환산한 금액도 불어날 수밖에 없었다. 일본이 1984년 1인당 소득 ‘1만 달러’ 고지에 오른 뒤 세계에서 가장 짧은 4년 만에 ‘2만 달러’ 고지에 오른 것도 환율 덕이 컸다. 1984년에는 달러당 237엔이었으나 1988년에는 128엔으로 엔화 가치가 뛰었다.

환율 탓에 1인당 소득이 떨어지는 경우도 있다. 프랑스의 1980년 1인당 GNP는 1만 2390달러였지만 81년에는 1만 783달러로 뒷걸음쳤다. 1981년의 경제성장률이 1.1%였지만 프랑스 프랑화 가치가 전년보다 달러에 비해 22.2% 떨어진 게 주요인이었다. 84년까지 이런 현상은 이어졌다. 독일(당시 서독)도 비슷한 과정을 거쳤다. 1983년 1인당 GNP는 1만 692달러였지만 84년에는 1만 136달러로 후퇴했다. 84년의 경제성장률은 3.2%로 괜찮았지만 독일 마르크화 가치가 전년보다 달러에 비해 10.3%나 떨어진 탓이다.

작년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2만 2489달러로 전년보다 9.4% 늘어났다. 원화 가치가 전년보다 4.2% 올라 1인당 GNI는 역대 최고였지만 팍팍한 국민의 삶과는 관계없는 수치다. 환율의 마력에 따라 소득이 늘기도, 줄기도 하기에 일희일비할 일은 아니지만 지난해 1인당 GNI 순위가 세계 44위라는 것을 정치인, 관료, 국민은 기억해야 한다. 1인당 소득에서 보면 선진국이 되려면 한참 멀었는데 벌써부터 퍼주기로 선심 쓰고, 공짜에 맛들이고, 샴페인을 일찍 터뜨린다면 그 결과가 어떨지는 불문가지(不問可知)다.

곽태헌 논설위원 tiger@seoul.co.kr

2012-04-02 3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