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신라 향가/임태순 논설위원

[씨줄날줄] 신라 향가/임태순 논설위원

입력 2012-02-23 00:00
업데이트 2012-02-23 00: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통일신라 경덕왕 때(760년) 해가 두 개 나타나 10일 동안 사라지지 않자 민심이 뒤숭숭했다. 고민하던 왕이 해법을 묻자 신하들은 “인연 있는 스님을 불러 산화공덕(散花功德)해야 한다.”고 건의했다. 왕은 불전을 차리고 기다리던 중 스님 월명사가 인근을 지나자 기도문을 부탁했다. 월명은 “저는 원래 국선(國仙)의 무리에 속해 있어 향가만 알 뿐 산스크리트어로 된 염불은 잘 모른다.”며 사양했으나 ‘향가도 괜찮다.’는 말에 ‘도솔가’(兜率歌)를 지어 올렸다. 요즘 말로 “오늘 여기서 산화가를 부르니 꽃이 피어나네/너는 곧은 그 마음 변치 말고 도솔천의 부처를 맞으라.”는 내용이다. 해가 사라졌음은 물론이다.

모든 문학작품이 그렇듯이 월명의 도솔가에도 시대상이 반영돼 있다. 도솔은 미륵보살이 사는 도솔천을 상징하기도 하지만 ‘다스리다’라는 뜻을 지닌 ‘다살’을 의미하기도 한다. 즉,도솔가는 변괴를 다스리는 노래인 만큼 일찍이 신라시대 때부터 나라의 어려움을 노래로 극복하려는 전통이 있었음을 말해준다. 국선이라는 말에서 보듯 월명은 화랑이었다. 그러나 삼국통일로 태평성대를 구가하게 된 통일신라로선 화랑의 효용가치가 크지 않았다. 입지가 약화된 화랑 중 상당수는 승려로 신분을 전환해야 했고, 뒤늦게 승려가 된 월명은 법문이 짧을 수밖에 없었다. 무(武)의 성격이 짙은 화랑들이 심신을 수련하면서 시가를 읊으며 정서를 함양한 것도 인상적이다. 그런 배경 때문인지 월명은 죽은 누이를 위한 ‘제망매가’(祭亡妹歌)라는 서정성 짙은 향가도 남겼다. “어느 가을 바람에/떨어지는 꽃잎처럼/같은 나뭇가지에서 났지만/서로 가는 곳을 모르겠구나.”라는 구절은 요즘 감각으로도 전혀 손색이 없다.

신라시대 향가가 발견됐다는 주장이 나왔다. 서울대 이승재 교수는 국립경주박물관에서 2000년 출토된 목간(木簡·종이 대용으로 글씨를 남긴 나무조각) 가운데 통일신라시대 향가 한 수가 포함돼 있다면서 어제 그동안의 연구결과를 학술대회에서 발표했다. 학계에서는 그의 주장에 대해 찬반 양론이 일고 있다. 향가는 향찰(鄕札) 및 이두(吏), 즉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 지은 신라의 시가다. 지금까지 삼국유사에 11수, 균여전에 14수 등 25수만 전해지고 있을 정도로 희귀하다. 목간의 글귀가 향가인지 여부는 학계에서 좀 더 검증해야 가려지겠지만 그런 주장이 나왔다는 것만 해도 가슴이 뛴다. 신라인의 정신세계를 엿볼 수 있는 자료가 생겼기 때문이다.

임태순 논설위원 stslim@seoul.co.kr

2012-02-23 31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