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언대] 젖소 나눔운동에 동참하자/이승호 낙농자조금관리위 위원장

[발언대] 젖소 나눔운동에 동참하자/이승호 낙농자조금관리위 위원장

입력 2011-06-01 00:00
업데이트 2011-06-01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6월 1일은 ‘세계 우유의 날’이다. 지난 2001년 세계식량농업기구(FAO)가 이날을 세계 우유의 날로 선포한 이래 전 세계 많은 나라들이 우유 관련 기념 행사를 열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2005년부터 이날을 기념하고 있다. 젖소를 기르고 우유를 생산하는 모든 이들에게 ‘세계 우유의 날’은 뜻깊은 날이다.

이미지 확대
이승호 낙농자조금관리위 위원장
이승호 낙농자조금관리위 위원장
하지만 올해 분위기는 사뭇 다르다. 지난해부터 계속된 구제역으로 많은 축산 농가가 피해를 입었기 때문이다. 구제역으로 전국적으로 3만 6000마리의 젖소가 매몰 처분됐다. 이는 구제역 발생 이전 사육 젖소의 8% 정도로, 우리 낙농 역사에서 유례가 없는 일이었다.

젖소를 잃은 낙농가는 회복하기 힘든 피해를 입었다. 우유를 생산할 젖소를 잃어버린 금전적 손해도 그렇지만 당장 사육할 젖소를 구할 수 없는 막막함이 더 큰 아픔이다. 젖소의 특성상 시중 유통 물량이 거의 없고, 송아지를 분양받아 키운다고 해도 산유 시기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걸린다.

이에 낙농 관련 생산자단체와 농림수산식품부는 지난 4월부터 ‘희망의 젖소 나눔운동’을 펼치고 있다. 피해를 입지 않은 낙농가가 서로의 젖소를 조금씩 나눠 피해 농가에 재기의 발판을 마련해 주자는 차원이다. ‘희망의 젖소 나눔운동’은 구제역 피해가 특정 낙농가의 문제가 아니라 전체 농가의 문제라는 인식이 있었기에 가능하다. 이 운동을 낙농인들끼리만 진행하는 것은 아니다. 낙농가의 힘든 처지를 이해하는 모든 이들의 동참을 우리 낙농인들은 바라고 있다.

구제역 피해가 지금은 생산자 피해로 그치겠지만, 언젠가 소비자들의 몫으로 돌아갈지 모른다는 우려가 있다. 우유 생산이 크게 줄어 예전보다 우유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서다. 당장 산유량이 떨어지는 여름철이 걱정이다.

모든 이들이 우려하는 우유 대란을 막기 위해서라도 피해 농가에 대한 젖소 나눔의 손길은 확대돼야 할 것이다. 그것이 ‘세계 우유의 날’의 의미를 제대로 살리는 길이다.
2011-06-01 3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