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검사와 스폰서/박대출 논설위원

[씨줄날줄] 검사와 스폰서/박대출 논설위원

입력 2011-04-11 00:00
수정 2011-04-11 00: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딸이 술 취하면 침을 뱉는다.” “부부가 각방을 쓴다.” “OOO는 욕쟁이다.” TV를 틀면 폭로가 줄을 잇는다. 아예 예능 프로그램의 대세다. 폭로자와 그 상대는 가깝고 허물이 없다. 이런 비밀을 들춰내는 건 악의(惡意)다. 그러면서 선의(善意)로 포장한다. 두 경계는 묘하다. 어느 게 진짜인지 아리송하다.

위키리크스는 폭로 전문 사이트다. 2008년 이코노미스트의 뉴미디어상을 받았다. 이듬해엔 국제사면위원회(Amnesty International)의 인권부문 보도기관상을 거머쥐었다. 그다음 해엔 샘 앤더슨협회로부터 샘 앤더슨상도 수상했다. 이쯤 되면 알 권리의 수호자다. 하지만 설립자인 줄리언 어산지는 고난을 겪고 있다. 미국·영국 등은 범죄자로 취급한다.

폭로는 야누스다. 두 얼굴을 갖고 있다. 외형적 목표는 선의다. 진실을 향한 용기를 표방한다. 도덕적 잣대로 무장한다. 이의를 달기 어렵다. 반면 폭로는 폭력성에 의존한다. 관음(觀淫) 본능을 자극한다. 폭로를 접하는 이는 용감해진다. 욕하고, 손가락질하고, 개탄한다. 흥분을 정의의 반격으로 여긴다. 그들은 폭로 당한 이의 곤경에 희열감마저 느끼기도 한다.

‘검사와 스폰서’란 책이 나왔다. 지난해 ‘스폰서 검사’ 제보자 정용재씨가 저자다. 검사들은 실명(實名)으로 등장한다. 서울대 총장 출신의 전직 총리, 기자 등이 실명으로 나온 신정아씨의 자전 에세이처럼. 전직 총리는 대선 주자의 반열에서 제동이 걸렸다. 실명은 뒷얘기에 불과한 것을 실화로 끌어올린다. 실명의 위력은 크다. 그 논란에는 정답이 없다. 선의냐, 악의냐 공방만 있을 뿐이다.

이 책은 일부 검사들의 치부를 들춰낸다. 술접대, 성접대, 촌지 수수 등이 적나라하게 묘사돼 있다. 돈, 여자, 권력이 등장하는 셈이다. 가독성을 높여줄 3대 요소들이다. 말초 신경을 자극하고, 횡포에 대한 분노를 이끌어낸다. 검찰 얘기를 다룬 책은 또 있다. ‘검찰공화국, 대한민국’이 얼마 전 출간됐다. ‘들어가며’에는 이런 글이 적혀 있다. “검찰 개혁을 위한 제대로 된 싸움이 시작되었으면 한다.” 요즘 국회에선 사법개혁안을 놓고 갑론을박 중이다. 검찰 개혁은 이래저래 화두다.

폭로 저널리즘. 1880~1890년대 미국에서 유행했다. 영어로는 ‘머크레이킹’(muckraking)이라고 한다. ‘머크’(muck)는 오물 또는 쓰레기라는 뜻이다. ‘레이킹’(raking)은 갈퀴로 긁는 것, 샅샅이 찾는다는 말이다. 폭로 저널리즘에는 해법이 있다. 오물, 쓰레기를 안 만들면 된다. 검찰도 마찬가지다.

박대출 논설위원 dcpark@seoul.co.kr
2011-04-11 31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트럼프 당선...한국에는 득 혹은 실 ?
미국 대선에서 여론조사 결과를 뒤엎고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 됐습니다. 트럼프의 당선이 한국에게 득이 될 것인지 실이 될 것인지에 대해 말들이 많은데요.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득이 많다
실이 많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