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눈] 희망 대신 절망을 주는 사람들/박건형 온라인뉴스부 기자

[오늘의 눈] 희망 대신 절망을 주는 사람들/박건형 온라인뉴스부 기자

입력 2011-04-07 00:00
업데이트 2011-04-07 00: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왜 우리 수민이를 그런 데 내세우느냐.”

“그래도 목소리를 내야지 조금이라도 더 많은 사람들이 장애인 권익을 이해해줄 것 아니냐.”

이미지 확대
박건형 사회부 기자
박건형 사회부 기자
6일 자 ‘소아암 앓아 다리 못쓰는 6살 수민이의 병원가는 길’ 기사가 보도된 후 수민이네 집에서는 밤 늦게까지 부부싸움이 이어졌다. 수민이 아빠는 가뜩이나 안쓰러운 딸의 얘기가 사진과 함께 신문에 나왔다는 사실을 마뜩잖아했다. 수민이 엄마는 “그래도 리프트 고장이 덜 나고, 저상버스가 늘어나면 더 좋아지는 것 아니냐.”며 남편을 달랬다. 나의 생각도 수민이 엄마와 같았다. 기사에 등장한 사례들은 수민이와 같은 장애인이라면 대부분 공감하고 있을 법한 불편들이다. 이 중 단 한가지라도 나아진다면 기사에 대한 보람을 느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했다.

하지만 현실은 전혀 달랐다. 서울메트로(3호선), 도시철도공사(7호선), 서울9호선운영㈜ 모두 기사를 접한 후 궁금해한 것은 ‘고장난 리프트의 위치’뿐이었다. 메트로와 9호선운영은 “우리 관할이 아니니 회사 명예를 위해 이름을 빼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책임 당사자인 도시철도공사는 “사실 확인을 해보니 지난해 10월 신형 리프트 교체 작업 이후에는 고장난 적이 없다.”고 말했다. 이어 “기사에 나온 이동경로 자체가 비상식적”이라며 “엄마 말만 듣고 쓴 과장된 기사”라고 폄훼하기 바빴다. “장애인의 달이라고 억지 기사가 자꾸 나온다.”고도 했다. 이럴 때 쓰는 말이 ‘적반하장’일까. 전화번호 없는 안내문에 대해서만 “역장이 규정을 어겼다.”고 시인했다.

리프트 고장에 대한 신속한 대책, 병원을 이용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저상버스 증설. 수민이 엄마와 수민이가 바라는 건 거창한 일이 아니다. 매년 쏟아지는 수많은 장애인 대책에 이미 담겨 있는 것들이다. “우리는 충분히 노력하고 있다.”고 자찬하는 사람들에게 말해주고 싶다. 당신들은 6살 어린이에게 ‘희망’ 대신 ‘절망’을 알려주고 있다고 말이다.

kitsch@seoul.co.kr
2011-04-07 30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