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여기] 리비아 사막에서 길을 잃다/강국진 국제부 기자

[지금&여기] 리비아 사막에서 길을 잃다/강국진 국제부 기자

입력 2011-04-02 00:00
업데이트 2011-04-0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강국진 사회2부 기자
강국진 사회2부 기자
지난 2월 15일 최초로 시위가 벌어지고 한동안은 모든 게 분명해 보였다. 시위는 ‘민주화시위’요, 반정부군은 ‘시민군’이었다. 민주화를 요구하며 거리로 뛰쳐나온 (용감한) 민주시민들을 잔인하게 진압하는 (사악한) 독재자. 리비아는 1980년 5월 광주와 겹쳐졌다.

전형적인 ‘민주 대 반민주’로는 제대로 해석이 안 되는 구도가 보이기 시작한 건 3월부터였다. 비행금지구역 설정을 넘어 무력 개입 얘기까지 흘러나왔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를 거치지 않는 ‘인도적 개입’에 이르러서는 프레임 자체를 새로 구성해야 했다. 러시아투데이가 보도한 한 전직 영국 정보기관 간부 말마따나 “모든 인도적 지원 조치는 결국 대규모 침공을 위한 변명에 불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시위 당시부터 리비아 상황을 되짚어 보자. 벵가지 등에서 시위가 발생하고 경찰이 진압하는가 싶더니 곧바로 총을 든 ‘시민군’ 일색이다. 국가임시위원회가 결성된 게 2월 27일이었다. 시위 발생 보름도 안돼 내전에 돌입했다. 카다피가 독재자인 것도 맞고 인권 탄압한 것도 맞겠지만, 상황이 이렇게까지 급변하는 데는 조직적인 부족 정치와 부족 간 갈등이 주요 요인이지 않았을까.

미 중앙정보국(CIA)과 영국 비밀정보국( MI6) 소속 특수요원들은 몇주 전부터 첩보를 수집하고 반군 지도부와 접촉했다고 한다. 그런데도 마이크 로저스 미 하원 정보위원장조차 “리비아 반군의 실체가 불분명하다.”며 무기 지원을 반대할 정도로 반군의 실체는 베일에 가려져 있다. 무엇을 근거로 이들을 ‘민주화 시위 지도부’와 ‘시민군’으로 간주할 수 있겠는가.

상황이 이런데도 다국적군은 목표가 카다피 제거인지, 민간인 보호인지도 모호한 무력 개입을 시작했다. 리비아의 미래는 셋 중 하나가 될 듯싶다. 이라크, 아프가니스탄, 혹은 21세기 최초의 분단국가.

이 글을 쓰는 필자나 오바마, 캐머런, 사르코지에게 공통점이 있다면 리비아 사막 한가운데서 신기루에 홀려 길을 잃었다는 점이다. 오아시스를 향해 달려갈수록 “이 길이 아닌가벼….”하는 소리만 가득하다.

betulo@seoul.co.kr
2011-04-02 26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