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무살 되는 코스피 200지수…삼성 쏠림은 심화

스무살 되는 코스피 200지수…삼성 쏠림은 심화

입력 2014-06-11 06:09
업데이트 2014-06-11 06: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코스피 200지수 내 삼성그룹 시총비중 30% 육박

올해로 20주년을 맞는 코스피 200지수에서 삼성그룹이 차지하는 시가총액 비중이 30%에 육박했다.

자산운용업계에서는 코스피 200지수를 추종하는 인덱스 펀드라도 삼성그룹 투자 규모에는 한계가 있어 지수와 펀드 수익률 간에 괴리가 생길 수 있다고 지적했다.

11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전날 보통주 기준으로 코스피 200지수를 구성하는 전체 종목 중 삼성그룹 상장사의 시총 비중은 29.7%로 나타났다. 특히 ‘대장주’인 삼성전자만의 시총 비중도 20.72%에 달했다.

현재 코스피 200지수에 편입된 삼성그룹 상장사는 모두 16개 종목이다. 우선주 및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크레듀를 제외한 모든 삼성그룹 상장사가 코스피 200지수 종목에 포함돼 있다.

코스피 200지수 내 삼성그룹의 쏠림 현상은 5년 전보다 심화했다.

지난 2009년 6월 코스피 200지수에서 삼성그룹 상장사의 시총이 차지하는 비중은 21.8%였다. 5년새 삼성그룹의 시총 비중이 8%포인트 가까이 늘어난 셈이다.

당시 코스피 200지수에 편입된 삼성그룹 상장사 종목 수는 13개였다. 이후 삼성카드(2009년 6월 12일), 삼성생명(2010년 9월 10일), 호텔신라(2013년 9월 2일)가 추가로 편입되면서 16개가 됐다.

코스피 200지수는 유가증권시장의 전체 상장사 중 시장 및 업종 대표성을 띠는 우량 종목 200개로 구성된다. 선물·옵션 거래 외에 최근에는 특히 인덱스펀드의 기초자산으로 널리 활용된다.

그러나 지수 내 삼성그룹, 특히 삼성전자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그에 따른 문제점도 나오고 있다.

대표적 문제가 펀드와 지수 간의 수익률 괴리다.

외국인이나 기관 투자자가 인덱스 펀드를 운용사에 일임할 때 포트폴리오에 동일 종목을 담을 수 있는 비중을 제한하는 경우가 많다.

한 자산운용사의 주식운용본부장은 “삼성전자의 지수 내 비중이 커지면 코스피 200지수를 추종하는 인덱스 펀드라도, 그 비중만큼 삼성전자에 투자할 수 없어 지수와 펀드 수익률 간에 격차가 생기는 문제가 있다”고 털어놨다.

또 코스피 200지수에서 삼성전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과도해지면 삼성전자 주가에 지수의 등락률이 좌우되는 것도 문제로 지적됐다.

이런 문제와 관련해 그동안 거래소에서도 코스피 200지수 내 삼성전자의 비중에 상한선을 두는 방법 등 여러 대책을 논의해왔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코스피 200지수의 산출 방식을 변경할 계획이 없다는 게 거래소의 입장이다.

라성채 한국거래소 정보사업부장은 “코스피 200지수는 제조업과 비제조업의 비율이 6:4 정도인 한국의 경제구조를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며 “삼성그룹의 비중이 커진다면 지수가 이를 반영하는 게 맞다고 본다”고 밝혔다.

업종별로 고르게 대표 종목을 선정해야 한다는 점 때문에, 일부 종목은 같은 코스피 200 종목이라고 보기 어려울 만큼 시총이나 거래량이 저조하다.

가령 전날 기준으로 삼성전자(211조5천억원)의 시총은 또다른 코스피 200지수 종목 카프로(1천564억원)의 1천352배에 달했다.

또 LG디스플레이의 전날 거래량은 382만주 이상으로 집계됐지만 한국쉘석유, 영풍, 태광산업의 거래량은 1천주 밑돌았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