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산균 19종?… 프로바이오틱스의 ‘과대포장’

유산균 19종?… 프로바이오틱스의 ‘과대포장’

홍인기 기자
홍인기 기자
입력 2020-07-22 22:16
업데이트 2020-07-23 02: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2종만 균종 80%… 나머지 균은 극소량
소비자원 “유산균별 표시·함량기준 필요”

여러 개의 균종(균의 종류)을 함유하고 있다고 표시한 건강기능식품 ‘프로바이오틱스’ 제품 대부분이 1~2종 균이 80% 이상이고, 나머지 균의 함량은 극소량인 것으로 조사됐다. 안전성과 균수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평가됐지만, 개별 균종에 대한 표시나 함량 기준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2일 한국소비자원이 프로바이오틱스 15개 제품을 대상으로 품질과 안전성 등을 시험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프로바이오틱스 균수는 평균 200억 CFU 수준으로 관련 기준(생균 기준 g당 1억 CFU 이상)에 적합했다. 대장균군이나 이물질 등은 검출되지 않았다. 프로바이오틱스는 유산균 증식과 유해균 억제 등의 효과로 최근 사람들이 많이 찾는 건강기능식품이다.

하지만 제품이 함유한 균종은 대부분 1∼2종에 치우친 것으로 나타났다. 19개 균종을 함유하고 있다고 표시한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19’는 ‘락토커코스 락티스’라는 균종 1개 함유량이 88%를 차지했고, 나머지 균종은 극소량 첨가된 것으로 조사됐다. 현재 프로바이오틱스 19개 균종을 모두 합한 총균수 기준만 있을 뿐 개별 균종에 대한 표시나 함량 기준은 없다. 소비자원은 “프로바이오틱스 균종 수가 많을수록 효과가 좋을 것으로 기대하지만 대부분 제품이 대표균 1∼2종에 편중돼 있다”며 “균종별로 최소 함량과 표시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 밖에 ‘재로우 도필러스 이피에스’는 섭취 때 주의 사항을 표시하지 않았고, ‘듀오락 온가족 유산균’, ‘유산균의 힘’,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19’는 투입 균수도 함께 표기해 소비자가 실제 섭취할 수 있는 균의 양을 오인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020-07-23 21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