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난 처한 두산중공업, 명퇴 이어 휴업 검토

경영난 처한 두산중공업, 명퇴 이어 휴업 검토

오경진 기자
오경진 기자
입력 2020-03-11 22:44
업데이트 2020-03-12 06: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측 ‘경영상 사유’ 공문 보내… 노조 거부

‘원자력·석탄 프로젝트’ 취소로 실적 악화
10조 규모 수주 물량 증발… 매출 절반 ‘뚝’
경남 창원시 두산중공업 가스터빈 조립공장. 두산중공업 제공
경남 창원시 두산중공업 가스터빈 조립공장. 두산중공업 제공
수주 부진 등으로 경영난에 처한 두산중공업이 명예퇴직에 이어 휴업까지 검토하고 있다.

11일 두산중공업에 따르면 사측은 전날 금속노조 두산중공업지회에 ‘경영상 휴업 시행을 위한 노사협의 요청’ 공문을 보냈다. 고정비를 절감하기 위한 긴급조치로 근로기준법 46조에 따른 ‘경영상 사유에 의한 휴업’을 할 수도 있다는 방침을 전달한 것이다.

두산중공업은 지난해 매출 15조 6597억원에 영업이익은 1조 769억원을 냈지만, 2014년 이후 6년 연속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자회사인 두산건설의 실적 부진도 겹쳤다. 이에 따라 회사는 앞서 지난달 18일 만 45세 이상 기술직과 사무직에 대해 명예퇴직을 받았다. 직원 500여명이 신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측은 이번에 휴업까지 검토하게 된 배경으로 원자력·석탄화력 프로젝트 취소로 인한 실적 악화를 거론했다. 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포함됐던 프로젝트가 취소되면서 약 10조원 규모의 수주물량이 증발했다는 것이다. 이어 실적이 가장 좋았던 2012년과 비교할 때 매출이 절반 이하로 떨어졌고 영업이익도 17%에 그쳤다. 일반적인 영업활동만으로는 금융 비용 등을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두산중공업 관계자는 “경영상 어려움을 타개하기 위해 여러 자구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면서 “이번 일부 유휴 인력에 대한 휴업도 방안 중 하나지만 아직 확정된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사측의 협의 요청을 두산중공업노조가 거부하면서 논란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노조는 직원들이 회사가 어려운 상황에 구조조정 등에 동참했던 만큼 경영진이 사재를 출연하는 등 책임 있는 모습을 먼저 보여야 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두산중공업지회와 금속노조 경남지부는 12일 경남도청 앞에서 경영진의 휴업 협의 요청에 대해 기자회견을 열고 입장을 밝힌다. 한편 휴업 소식이 알려지자 이날 두산중공업의 주가는 전날보다 980원(21.44%)이나 떨어진 3590원을 기록했다.

오경진 기자 oh3@seoul.co.kr
2020-03-12 21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