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또 ‘베이비스텝’ … 기준금리 3.5%로

한은 또 ‘베이비스텝’ … 기준금리 3.5%로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23-01-13 10:03
업데이트 2023-01-13 10: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상 첫 7연속 기준금리 인상

이미지 확대
의사봉 두드리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의사봉 두드리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3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2023.1.13
사진공동취재단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끌어올리는 ‘베이비스텝’을 단행했다. 사상 첫 7연속 금리 인상으로 기준금리는 3.5%로 올라갔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13일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기로 결정했다.

사상상 첫 7연속(2022년 4·5·7·8·10·11월, 2023년 1월) 기준금리 인상이다. 이로서 기준금리는 3.5%가 됐다.

한국은행은 경기 둔화와 금융시장 불안, 저성장 우려에도 물가에 중점을 둔 통화정책을 운용하겠다고 수차례 강조해왔다. 이번 기준금리 인상은 지난해 12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이 5.0%를 기록하는 등 여전히 물가상승률이 5%대의 고공행진을 이어가기 때문이다.

미국의 기준금리 상단이 4.5%로, 미국과의 기준금리 격차를 더 키워선 안 된다는 판단도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기준금리 인상으로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격차는 1.0%포인트로 좁혀졌다. 한은이 경기 둔화와 금융시장 불안 등을 고려해 금리를 동결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으나, 이 경우 미 연방준비제도(연준)이 다음달 1일 기준금리를 인상할 경우 금리 격차는 1.5%포인트 이상으로 벌어지게 된다. 금리 격차가 커질수록 국내 시장에서 외국인 투자자금이 유치되고 원화 가치가 떨어진다.

김소라 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