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 창릉신도시 조성 사업 본격화…지구지정 고시

고양 창릉신도시 조성 사업 본격화…지구지정 고시

한상봉 기자
한상봉 기자
입력 2020-03-06 13:08
업데이트 2020-03-06 13: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고양 창릉지구 전경
고양 창릉지구 전경
3기 신도시인 경기 고양시 창릉신도시 조성사업이 본격화 됐다.

고양시는 6일 덕양구 원흥동·화전동·창릉동 일대 812만7000㎡ 규모의 3기 신도시 조성사업 지구 지정이 고시됐다고 밝혔다.

창릉지구의 130만여㎡(가용면적 37%)는 자족용지로 조성되며, 전체 사업비의 20%인 2조원 이상이 고양선 전철(14.5㎞) 등 교통대책에 투자된다. 310만여㎡ 규모의 공원·녹지 및 호수공원도 들어선다.

판교 보다 2배 이상 넓은 130만㎡ 규모의 자족용지에는 각종 기업체가 고양선을 중심으로 입주하며, 기업 요구에 맞춰 자족용지의성격을 다양화할 특화 전략을 마련 중이다. 자족용지 인근에는 창업주택 등을 배치해 ‘직주근접형’ 자족도시를 만들 구상이다. 스타트업 등 창업 인큐베이터 역할을 할 ‘기업지원허브’, 성장단계기업을 위한 ‘기업성장지원센터’를 LH에서 건설·운영할 계획도 갖고 있다.

교통대책으로는 지난해 5월 국토교통부에서 발표한 고양선(새절역~고양시청)과 백석~서울문산간고속도로 4.8㎞, 제2자유로 연결도로 1.2km 건설 이외 고양시에서 추가 요청한 별도 대책도 LH와 논의 중에 있다.

고양시는 창릉지구를 친환경 생태 도시로 만들기 위해 지구의 중심을 흐르는 ‘창릉천’과 군부대 부지가 있던 망월산 등을 활용해 전체 면적의 39%를 공원·녹지로 만든다. 지구를 관통하는 동쪽과 서쪽의 녹지축을 지구 내 공원·녹지로 연결하고, 기존 군부대는 약 100만㎡ 규모의 도시숲으로 탈바꿈한다. 창릉천 정비사업과 함께 호수공원도 만들어진다. 세계문화유산인 서오릉 주변에는 경관을 최대한 보존하면서 역사문화 거리, 역사문화전시관 및 한옥 특화단지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오는 7월이면 해제돼 난개발이 우려되는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내 장기미집행 공원인 행주산성역사공원, 화정근린공원, 대덕근린공원 조성사업은 창릉지구 사업시행자가 부담하는 그린벨트 훼손지 복구사업으로 추진될 예정이다. 3개 공원 조성비용 3392억원의 고양시 예산을 절감하게 된 것이다.

한편 이번에 같이 지구지정 고시된 고양탄현공공주택지구는 난개발이 우려되던 장기미집행공원인 탄현근린공원부지와 연접부지를 활용해 LH가 공원을 조성하고 주택을 공급하는 공공주택사업으로 추진된다. 탄현근린공원조성 비용 1248억원의 혈세를 아낄 수 있다. 인천 2호선을 탄현까지 연장해 개발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한상봉 기자 hsb@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