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양주택, 9개월 만에 다시 증가세로 반전

미분양주택, 9개월 만에 다시 증가세로 반전

입력 2014-06-26 00:00
업데이트 2014-06-26 11: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5월 말 기준 3천453가구 늘며 4만9천여가구로 증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이 9개월 만에 다시 증가했다. 전·월세 임대소득 과세 강화 방침 등이 주택 분양 시장에도 일정 부분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국토교통부는 5월 말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이 4만9천26가구로 전달(4만5천573가구)보다 3천453가구 증가했다고 26일 밝혔다.

작년 9월부터 8개월째 감소세를 보이던 미분양 주택이 다시 증가세로 돌아선 것이다.

미분양 주택의 증가는 신규 미분양 등 증가분이 기존 미분양 해소분보다 많았기 때문이다. 지난달 신규 등 증가분은 7천919가구(수도권 6천162가구·지방 1천757가구)에 달했지만 기존 미분양 해소분은 4천466가구(수도권 1천405가구·지방 3천58가구)에 그쳤다.

권역별로 보면 수도권의 미분양 주택은 전달보다 4천754가구 증가한 2만9천46가구를 기록해 6개월 연속 감소한 끝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경기 김포에서 2천869가구, 경기 시흥에서 1천88가구, 인천에서 1천772가구 등 대규모로 신규 미분양과 계약 해지가 발생하며 미분양 주택이 증가한 영향이 컸다.

이로 인해 기존 미분양 1천408가구가 줄었지만 신규 등 증가분이 6천162가구 늘면서 전체적으로 미분양이 증가했다.

지방은 전달보다 1천301가구 줄어든 1만9천980가구로 집계되며 6개월째 감소했다.

경남, 충북, 대구 등을 중심으로 신규 미분양이 발생했지만 기존 미분양이 꾸준히 감속한 덕분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전·월세 임대소득 과세 강화 등으로 시장의 심리가 위축된 영향이 반영된 측면이 있는 것 같다”며 “하지만 미분양 증가가 특정 지역에 집중돼 있어 근본적으로 분양시장의 회복세가 꺾였다고 보는 것은 성급한 판단 같고, 확산 여부는 앞으로 추이를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다만 최근 당정협의 등을 통해 임대소득 과세나 건강보험료 부과 문제 등에 대해 불확실성을 해소해 나가고 있는 만큼 크게 번져나가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주택 규모별로는 전용면적 85㎡ 초과 중대형은 1만9천858가구로 전달보다 51가구 감소했고, 85㎡ 이하 중소형은 2만9천168가구로 전달보다 3천504가구 증가했다.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도 수도권을 중심으로 전달보다 585가구 증가한 2만908가구로 집계됐다.

미분양 주택 현황은 국토부 국토교통통계누리(stat.molit.go.kr)나 온나라 부동산포털(www.onnara.go.kr)에서 볼 수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