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세 수입 짭짤”… 수도권 소형아파트 거래 꿈틀

“월세 수입 짭짤”… 수도권 소형아파트 거래 꿈틀

입력 2013-08-19 00:00
업데이트 2013-08-1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월세 수익이 전세보다 2배↑

최근 경기 용인·산본 등지에서 한 사람이 소형 아파트 5~6채를 한꺼번에 사들이는 사례가 종종 나타나고 있다. 전반적인 주택거래 침체 상황에서 이례적인 현상이다. 집값이 떨어졌다고는 하지만 시세차익을 겨냥한 투자는 분명히 아니다. 월세 수입을 겨냥한 투자자들이 아파트를 사들인 경우다. 월세 수입을 겨냥해 전세를 월세로 돌리는 사례도 증가하는 추세다.

부동산 거래 침체 속에서 월세 수입을 겨냥, 아파트를 사들이는 이례적인 투자가 꿈틀대고 있다. 전세 수익률보다 보증부 월세 수익률이 2~3배 이상 되기 때문이다. 사진은 서울 강남지역 아파트 단지. 서울신문 라이브러리
부동산 거래 침체 속에서 월세 수입을 겨냥, 아파트를 사들이는 이례적인 투자가 꿈틀대고 있다. 전세 수익률보다 보증부 월세 수익률이 2~3배 이상 되기 때문이다. 사진은 서울 강남지역 아파트 단지.
서울신문 라이브러리
18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산본 개나리주공아파트 49㎡의 시세는 1억 7000만원 정도, 전세가는 1억 3000만원 안팎에 형성돼 있다. 이 아파트 월세(보증부 월세·반전세)는 보증금 5000만원에 60만원이다.

아파트 한 채 구입 가격을 투자액으로 따졌을 경우 정기예금 금리 2.5%를 적용하면 연간 비용이 430만원 정도. 세금 등을 감안해도 연간 500만원을 넘지 않는다. 이 아파트를 전세로 임대할 경우 연 수익률은 320만원 정도밖에 나오지 않는다. 하지만 월세로 돌리면 840만원 정도 나온다. 전·월수익률이 두 배 이상 차이 난다.

이처럼 월세 수입을 노린 소형 아파트 거래가 수도권에서 심심찮게 이뤄지고 있다. 전반적인 아파트 거래 회복과는 다소 거리가 먼 현상이지만 ‘거래절벽’ 속에서도 월세를 겨냥한 소형 아파트 구매 수요는 끊기지 않고 이어지고 있다.

전세를 월세로 돌리려는 경향도 짙게 나타나고 있다.

서울 서초구 서초동 서초래미안 아파트 96㎡에 사는 김모씨는 최근 전세 아파트를 월세로 돌렸다. 보증금 4억 5000만원의 전세는 주변 시세에 맞춰 5억 5000만원으로 올랐다. 하지만 김씨는 보증금 1억원을 올려받지 않고 월세로 돌렸다. 보증금 1억원에 월 250만원을 받기로 계약했다. 전세보증금을 더 받아도 마땅히 굴릴 데가 없는 데다 낮은 은행 금리에 성이 차지 않았다.

김씨가 월세로 돌린 이유는 수익률 차이 때문이다. 월세로 돌리면 연 6~7%의 수익률이 나오는 데 비해 전세 수익률은 2~3%밖에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김씨가 전세를 줬을 경우 보증금 5억 5000만원을 은행에 맡기면 2.5%를 적용해도 연간 수익이 1400여만원에 불과하다. 하지만 월세로 돌릴 경우 연간 수입은 3200여만원에 이른다. 수익률이 6~7%로 은행 정기예금의 두 배 수준이다.

전·월세 수익률 격차, 집주인들의 월세 선호는 최근의 전세난과 무관치 않다. 전세를 놓았던 집주인들이 수익률이 높은 월세로 돌리고 있기 때문이다. 부동산 114에 따르면 서울 월세 계약의 31.7%가 월세로 100만원 이상 내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서초·용산·중구·성동·강남지역은 50% 이상이 월세로 100만원 이상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산가들 사이에는 월세 수입을 겨냥한 중소형 아파트 투자도 나타나고 있다. 역세권 소형 아파트와 수도권 외곽 도시에서 주로 목격된다. 이해광 한국공인중개사협회장은 “거래중단 현상만 부각되다 보니 주택 거래가 더욱 침체되고 있다”며 “최근 수도권 역세권 소형 아파트 중심으로 월세 투자 목적으로 한 사람이 5~6채를 구입하는 경우도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전세에 비해 월세 투자 수익률은 분명히 높다. 하지만 주의할 점도 많다. 우선 수요가 풍부한 곳을 골라야 한다. 월세 부담이 클수록 수요자는 많지 않다. 자칫 오랫동안 공실이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월세를 겨냥한 투자는 인구이동이 많은 지하철역 주변, 소형 아파트나 다가구주택 등이 유리하다.

월세 환산의 기준은 전세보증금이므로 매매가와 전세가의 차이가 적은 곳이 유리하다. 외국인 임차인이 많은 지역의 아파트도 인기다. 특히 고액의 월세 수요자는 서울 강남 등에 한정돼 있다.

투자율도 꼼꼼하게 따져야 한다. 2~3년 전만 해도 월세 수익률은 10% 안팎까지 바라볼 수 있었다. 하지만 임대차 시장이 서서히 전세에서 월세로 바뀌면서 월세 수익률도 점점 떨어지고 있다. 저금리가 이어지고 월세·반전세 아파트가 많아지면 월세 투자 수익률이 더 떨어질 가능성도 있다.

무엇보다 아파트값이 하락할 수 있다는 생각을 머릿속에 둬야 한다. 당장의 월세 수입을 노리고 섣불리 시세보다 비싸게 구입하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된다. 최근 오피스텔 공급이 급증하고 있다. 오피스텔이 밀집한 주변에서는 월세 물건이 상대적으로 많다. 가급적 오피스텔 공급이 적은 곳을 골라야 유리하다.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13-08-19 18면
관련기사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