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전셋집 4채 중 1채 ‘깡통주택’

수도권 전셋집 4채 중 1채 ‘깡통주택’

입력 2012-11-01 00:00
업데이트 2012-11-01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실질LTV 80% 이상 26%… 경매 땐 전세금도 못 갚아

주택담보대출이 있는 수도권 전세주택 가운데 집을 처분해도 대출금과 전세 보증금을 대지 못하는 이른바 ‘깡통주택’이 26%에 이른다는 분석이 나왔다. 전셋값은 계속 오르고 집값은 떨어지고 있어 ‘깡통주택’은 더 늘어날 전망이다. 한국은행은 31일 발표한 금융안정보고서에서 앞으로 전셋값 상승으로 주택 소유자뿐만 아니라 세입자도 위험에 내몰릴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한은에 따르면 올 3월 말 현재 주택담보대출이 있는 전세주택의 담보인정비율(LTV)은 평균 50%다. 하지만 전세 보증금을 포함하면 실질 LTV는 71%로 껑충 뛴다. 집값의 71%가 ‘남의 돈’이라는 얘기다. 전체(자가+전세) 주택담보대출 평균 LTV(48%)보다도 훨씬 높다.

그동안 금융 당국은 이 평균 LTV를 근거로 “대출금 비중이 집값의 평균 50%여서 집값이 반 토막 나지 않는 한 별 문제없다.”는 주장을 펴 왔다. 하지만 사실상 빚인 전세 보증금이 LTV에 반영돼 있지 않아 “실제보다 위험치가 축소됐다.”는 반박이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

실질 LTV가 80%인 전셋집은 전체의 26%나 됐다. 최병오 한은 조기경보팀 과장은 “올 상반기 경매 낙찰가율이 평균 75%인 점을 감안하면 (LTV가 80%를 넘는) 해당 주택은 경매로 처분해도 낙찰가가 대출액과 전세 보증금 합계액을 밑돈다.”며 “세입자가 전세 보증금을 떼일 위험이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아파트 매매가격 대비 전셋값 비율은 수도권 기준으로 2009년 초 40%였으나 올 9월 55%까지 올랐다. 집값이 100이라면 전셋값이 55라는 의미다. 서울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의 경우 이 비율이 60%를 넘는 가구가 14%나 됐다. 60%는 LTV 상한선이기도 하다. 강남3구의 조사대상 474개 단지 가운데 65개 단지가 여기에 해당됐다.

수도권 집값이 떨어지면서 LTV 60%를 넘는 대출 중 원금은 전혀 갚지 못한 채 이자만 내고 있는 가구의 대출은 35조원이었다. 집값이 20% 더 떨어질 경우 이 같은 고위험 대출은 93조원으로 늘어난다.

전경하기자 lark3@seoul.co.kr

2012-11-01 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